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ound, Symbol, and Space: An Ethnosemiotic Analysis of Vernacular Soundscapes in Honghai Morning Market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석일선(Yi Xuan Shi)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49~6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동북 지역 홍해(红海) 아침 시장을 중심으로 길거리 시장 내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구하였으며, 시장 소리가 문화적 기호로 생산되고, 전파되며, 해석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버내큘러 문화(vernacular culture), 사운드스케이프 이론, 민족기호학적(ethnosemiotics) 관점을 통합하여 시장 소리가 어떻게 문화적 기호로 기능하는지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사운드워킹, 사운드 매핑, 직접 관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축코딩 분석을 통해 시장 소리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연 소리, 내비게이션 소리, 배경 소리. 연구는 세 가지 대표적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두부 판매대의 방언 호객 소리, 가금류 판매대의 닭 울음소리, 그리고 식품 가공에 사용되는 화염 토치의 기계적 소리. 연구 결과, 시장 소리는 단순한 청각적 현상을 넘어 지역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는 복합적 기호 체계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소리들은 고객의 주의를 끌거나, 공간적 이동을 유도하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등의 특정 행동을 유발한다. 홍해 조시의 사운드스케이프는 다양성, 역동성, 그리고 강한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며, 이는 시장의 감각적 경험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버내큘러 문화의 혁신성과 지역성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도시 공공공간 설계에 다층적 소리 계획 전략 수립, 소리-행동 상호작용 시스템 설계, 지역 사운드마크 보존 등의 시사점을 제공하여 도시 감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soundscapes in Chinese street markets, taking the Honghai Morning Market in Northeast China as a representative case. Integrating theories of vernacular culture, soundscape, and ethnosemiotics, the research analyzes how market sounds function as cultural symbo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soundwalks, sound mapping, and direct observation. Through axial coding analysis, market sou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erformance, navigation, and background sounds. The study focuses on three representative cases: dialect-driven hawking at a tofu stall, live poultry sounds, and mechanical sounds from flame torches used for food preparation. Findings reveal that market sounds are a complex symbolic system embedded with local cultural meanings rather than mere auditory phenomena. These sounds trigger specific behaviors, including capturing customer attention, directing spatial movement, and facilitating social interaction. The Honghai Morning Market's soundscape exhibits diversity, dynamism, and strong loc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sensory experiences and vernacular cultural expression. The research provides insights for urban public space design, including multi-layered sound planning strategies, sound-behavior interaction systems, and preservation of local soundmarks, and creating spatial environments conducive to sound performances.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Framework
3.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Soundscape at Honghai Morning Market
4. Case Studies of the Soundscape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일선(Yi Xuan Shi). (2025).Sound, Symbol, and Space: An Ethnosemiotic Analysis of Vernacular Soundscapes in Honghai Morning Market.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49-63

MLA

석일선(Yi Xuan Shi). "Sound, Symbol, and Space: An Ethnosemiotic Analysis of Vernacular Soundscapes in Honghai Morning Market."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49-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