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K-Creativity-Based Experiential Learning to Enhance Creativity in the AI Era : Utilizing the Aesthetic Space of the Buncheong Ware Iron-Painted Lotus and Tangled Grass Pattern Jar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재인(Jae In Kim)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시대를 맞이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자기 주도적인창의성 향상을 목표로, 한국인의 원형적 미의식을 반영한 K-창의성 체험수업콘텐츠를 계발하고 그 효과를 실증하였다. 프리드리히 실러(Friedrich Schiller)의미적 교육론을 적용하였으며,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粉靑沙器鐵畵蓮唐草文壺)의미학적 공간을 활용한 체험수업을 경기도 내 중·고등학생 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서울대학교 학습창의센터와 연계해 체험수업 전후로 1, 2차 창의성 검사(글로벌재능진단검사(i + 3C))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94%가 자유로움을 느꼈고, 84%가 창의성의 향상을 보였다. 하위영역인 창의적 성격·아이디어 생성력·원격연합력 등에서는 유의미한 상승폭이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K-창의성에 기반한 본연구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창의성 향상을 위한 체험수업 콘텐츠로교육현장에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nhance self-directed creativity, a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advent of the AI era. To this end, it developed and empirically validated a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based on K-creativity, which integrates Korea’s archetypal aesthetic consciousness. Grounded in Friedrich Schiller’s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the program utilized the aesthetic space of the Buncheong Ware Iron-Painted Lotus and Tangle-Grass Pattern Jar and was implemented with 6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In collaboration with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reativity Center, participants underwent the i+3C Global Talent Creativity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94% of the students reported a sense of freedom, and 84% demonstrated improvement in creativity. Notably,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subdomains such as creative personality, idea generation, and remote association ability. Based on K-creativity, the researcher proposes this study as experiential lesson content aimed at enhancing creativity as required b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인(Jae In Kim). (2025).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미술교육논총, 39 (2), 1-28

MLA

김재인(Jae In Kim).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미술교육논총, 39.2(202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