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Impact of Generative AI and Edutech-Integrated Art Education on the Soft Skills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인희(In Hee Cheng) 박남정(Nam Jung Par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29~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와 에듀테크를 활용한 중학교 미술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중학생의 소프트스킬에 미치는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A중학교에서중학교 미술 교과의 ‘소통하는 시각디자인’과 ‘만화와 애니메이션’ 단원을 중심으로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 미술 수업을 진행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역량검사지(KEDI, 2020)와 미래 인재상 기반 소프트스킬 요인분석(류청산, 2016)을참고하여 문항을 재구성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비교분석과 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 미술 수업이 중학생들의 자기주도성, 창의적사고, 문제해결력, 수용·소통 능력, 리더십과 같은 소프트스킬의 향상에 효과적임을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과 만족도, 의견 수렴을 통해 수업의 효과와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와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술 수업이소프트스킬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 현장에서 창의성과 소프트스킬을동시에 육성하는 교육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향후다른 교과에서의 소프트스킬 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iddle school art classes that utilize generative AI and edutech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oft skills.
To this end, art classes based on generative AI and edutech were conducted at a middle school in Daeje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ve Visual Design’ and ‘Cartoon and Animation’ units of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approach,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KEDI Student Competency Assessment (2020) and the Soft Skills Factors Based on Future Talent Characteristics (Ryu Cheong-san, 2016), an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pre-tests and post-tests.
For Data analysis, comparative and frequenc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25.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art classes incorporating generative AI and edutech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oft skills, including self-directedness,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receptive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soft skills education in various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미술과 교육과정의 소프트스킬 분석과 AI 수업 자료 개발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 미술 관심도의 조절 효과
- 늘봄학교 미술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모듈형 연수 모델 개발
-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 국내 미술관교육 학술 담론의 변천 과정 분석
-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 창작 수업 - 평가와의 연계 가능성 중심으로
-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 AI 기술 도입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와 교육적 함의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