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HP 모형 기반 여성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Kansei Design Study on of Women's Surfing Suits: Based on the AHP Model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이민(Min Li) 이정희(Jung Hee Lee) 조은미(Ling Mei Zhao) 김면(My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64~76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사용자의 감성적 요구를 기반으로, 감성 디자인 이념과 계층분석법(AHP)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서핑복 디자인 요소 선호도 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라 원단, 실루엣, 색채, 문양 등 4대 핵심 디자인 요소의 감성 어휘를 도출하고, 정성적 인터뷰와 SD 의미차 분법을 병행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9종 대표 서핑복 이미지에 대한 감성 평가 데이터 수집하였다. 이어 10명의 학자를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원단, 실루엣, 색채, 문양의 16개 하위 요소에 대한 쌍대 비교와 가중치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각 요소가 여성 서핑복 감성 경험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화하였다. 평가 결과, 원단 요소의 하위 요소 가중치 순위는 ‘통기성’ > ‘속건성’ > ‘경량성’ > ‘부드러움’으로 나타났으며, 실루엣 요소는 ‘자유로움’ > ‘민첩함’ > ‘유선형’ > ‘타이트함’, 색채 요소는 ‘선명함’ > ‘청량함’ > ‘차분함’ > ‘클래식함’, 문양 요소는 ‘구상적’ > ‘동적인’ > ‘섬세한’ > ‘개성적인’ 순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디자인 전략을 제안한다: 통기성과 속건성이 높은 원단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인체공학적 3차원 재단을 적용하며, 고대비 및 그러데이션 색채를 조합하고, 구상적 자연 문양을 주시각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여성 서핑복 사용자의 감성 경험과 실용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용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기능성과 실용성 측면에서의 심화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와 현실적 적용 가능성이 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evaluation model for design element preferences in women’s surfwear, grounded in Kansei design theory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ith the aim of addressing female users’ emotional needs. Anchored in the framework of Kansei design, four critical design elements—fabric, silhouette, color, and pattern—were identified, along with corresponding emotional vocabularies. Through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interviews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emotional assessments of nine representative surfwear images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questionnaire. Subsequently, ten academic experts conducted pairwise comparisons of 16 sub-elements under the four categories using AHP, enabling the quantification of each element’s relative weight in shaping users’ affective perceptions. The weighting results are as follows: for fabric, the sub-elements are ranked as breathable > quick-drying > lightweight > soft; for silhouette, the order is free > agile > streamlined > tight-fitting; for color, the preferences are ranked vivid > fresh > cool-toned > classic; and for Pattern the ranking is figurative > dynamic > delicate > individualistic. Based on the above hierarchy, the study proposes targeted design strategies: prioritize high-porosity, quick-drying textile materials; adopt ergonomically driven 3D tailoring for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utilize high-contrast and gradient-based color palettes; and incorporate figurative natural motifs as the primary visual language. These strategies are intended to enhance both the emotional resonance and functional performance of women’s surfwear products. By integrating emotional design principles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this research provide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user-centered product development in the domain of functional apparel design. It also offers strategic insights for future innovations in surfwear that balance affective appeal with practical usabil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감성 디자인 기반 여성 서핑복 평가
4. 감성 디자인 평가 결과에 따른 AHP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Min Li),이정희(Jung Hee Lee),조은미(Ling Mei Zhao),김면(Myun Kim). (2025).AHP 모형 기반 여성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64-76

MLA

이민(Min Li),이정희(Jung Hee Lee),조은미(Ling Mei Zhao),김면(Myun Kim). "AHP 모형 기반 여성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64-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