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호학적 시각에서 바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전통 신화 인물 이미지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 시리즈의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constructing Traditional Mythological Character Images in Animation Character Design from a Semiotic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entral Characters in the Chinese Animated Film Series ‘Ne Zha’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한방(Fang Han) 정원준(Won-Jun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244~261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글로벌 애니메이션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기술의 진보와 시장 수요의 동시 작용 속에서 전통 신화 주제 애니메이션은 전통 문화의 근간을 계승함과 동시에 현대 문화 맥락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릭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창조적 변환을 실현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핵심 명제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호학 이론을 토대로 ‘실재 체계-외시의미 체계-함축의미 체계’의 3단계 분석 모델을 구축하고, <나타>시리즈의 나타와 오병을 사례로 하여 그 변천 논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 기술이 전통 시각 담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핵심적인 문화적 기준점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기호 요소의 재구성은 시대적 맥락과 미적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가치 재정립을 통해 전통 문화와 현대 정신의 융합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기술 부여-기호 요소의 재구성-가치 재정립’의 3단계 동적 메커니즘을 제안함으로써 전통 문화 기호의 재생산 논리를 규명하였다. 이 메커니즘은 신화 주제 애니메이션의 현대적 전환에 대한 방법론적 지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통 문화 기호의 창의적 재창조를 체계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영문 초록

As the global animation industry continues to expand, the dual forces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market demand have posed new challenges for traditional mythological animation in balancing cultural continuity with contemporary relevance. Focusing on character design as a key entry poi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creative transformation. Drawing on semiotic theory, it constructs a three-tier analytical model—comprising the Real System, Denotative System, and Connotative System—and analyzes the symbolic evolution of Nezha and Ao Bing in China's 3D animated Nezha film series. The study finds that modern technology ha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visual carriers; under the premise of preserving core cultural anchors, symbolic elements are reconstructed to align with contemporary narrative contexts; and the resulting value transformation fosters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ith modern ideological expression. This research further proposes a threefold dynamic mechanism—“technological empowerment, symbolic reconstruction, and value reconfiguration”—to reveal the logic of cultural symbol reproduction. The mechanism offers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modernization of myth-based animation and contributes theoretical insight into the creative regeneration of cultural symbol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방(Fang Han),정원준(Won-Jun Chung). (2025).기호학적 시각에서 바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전통 신화 인물 이미지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 시리즈의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244-261

MLA

한방(Fang Han),정원준(Won-Jun Chung). "기호학적 시각에서 바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전통 신화 인물 이미지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 시리즈의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244-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