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성 어포던스 기반 생성디자인에서의 소비자 선호와 심성모형화에 관한 연구 - 의자 디자인의 심미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onsumer preference and mental modeling in generative design based on emotional affordance : Focusing on the aesthetics and preference of chair design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진현오(Hyon O Jin) 강재철(Jae Cheol Ka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137~14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생성디자인은 단순한 형상 생성의 차원을 넘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 설계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제품 및 공간 디자인에서 물리적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 감성 경험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부각되며, 감성 어포던스 이론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생성디자인이 의자 디자인의 감성적 설계 요소를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감성 어포던스와 심성모형화 개념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감성 반응과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웹 기반 데이터 수집, 텍스트 마이닝, 정량 설문조사를 통해 감성 어포던스 요소를 유형화하고, 이들이 소비자의 심미성, 선호도 판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의자디자인 사례 가운데 수직형 구조와 구속조건 기반의 모델링, 자연 소재, 조각적 형식미는 선호도와 감성적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상최적화 기반 고복잡 디자인은 예측 불가능성과 인지적 불편을 유발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생성디자인이 기술 기반 자동화를 넘어 감성 중심 UX 설계로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AI 기반 디자인 시스템의 인간 중심적 진화를 위한 기초 이론 및 설계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generative design evolves beyond shape automation toward user-centered approaches power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emotional value becomes a critical differentiator in product and spatial desig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motional affordance and mental modeling theories can inform emotionally resonant generative design strategies.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including web-based data crawling, text mining, and quantitative user surveys—this research identifies and categorizes key emotional affordance factors and examines their influence on consumer preference and aesthetic judgment. The results reveal that vertically structured forms, constraint-based modeling, natural materials, and sculptural aesthetic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ppeal and perceived usability. In contrast, highly complex and topology-optimized designs may trigger cognitive dissonance or discomfort due to their unpredictabi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motion-driven generative design and offers actionable insights for AI-powered UX systems seeking to incorporate affective design principles in early-stage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분석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현오(Hyon O Jin),강재철(Jae Cheol Kang). (2025).감성 어포던스 기반 생성디자인에서의 소비자 선호와 심성모형화에 관한 연구 - 의자 디자인의 심미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137-147

MLA

진현오(Hyon O Jin),강재철(Jae Cheol Kang). "감성 어포던스 기반 생성디자인에서의 소비자 선호와 심성모형화에 관한 연구 - 의자 디자인의 심미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137-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