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 교육차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학생의 ChatGPT 지속사용 의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Exploring Visual Design Student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ChatGPT from a Design Education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주춘려(Chunli Zhou) 리메이르(Meile Le) 정의태(Euitay Ju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392~407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ChatGPT는 디자인 교육 분야에 점차 침투하고 있다. 시각디자인 전공에서는 ChatGPT가 자료 탐색, 아이디어 발산, 카피라이팅, 색채 조합 등 다양한 과제 수행 과정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과 과업-기술 적합성 이론(TTF)의 통합모형을 기반으로,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ChatGPT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TAM 모형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U)은 학생들이 ChatGPT가 디자인 과업 수행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지각된 용이성(PEOU)은 ChatGPT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한편, TTF 모형은 디자인 과업 특성(TAC)과 ChatGPT의 기술 특성(TEC)이 과업-기술 적합도(TTF)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이는 ChatGPT의 기능이 과업의 요구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병행하는 방법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먼저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 7명을 인터뷰하여 ChatGPT 사용 경험과 선호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TAM-TTF 통합모형을 설계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총 337부의 유효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업-기술 적합도(TTF), 지각된 유용성(PU), ChatGPT의 기술 특성(TEC)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ChatGPT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적 관점에서는 교수 전략, 인지 유도, 제도적 지원, 실제 적용 측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인공지능 개발자 관점에서는 시각디자인 전공자를 위한 기능 모듈 설계, 사용 안내 체계, 성과 평가 기준 등을 중심으로 한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다. 향후 디자인 교육의 지속 가능성과 지능화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ChatGPT has increasingly permeated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In visual design programs, ChatGPT is widely applied across various stages, including information retrieval, ideation, copywriting, and color matching. Based on an integrated model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ask-Technology Fit (TTF)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visual design students’ continued intention to use ChatGPT. In the TAM framework, perceived usefulness (PU)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believe ChatGPT effectively supports their design tasks, while perceived ease of use (PEOU) relates to the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tool. The TTF model emphasizes how task characteristics (TAC) and ChatGPT’s technological features (TEC) affect task-technology fit (TTF), the degree to which ChatGPT’s functions align with the needs of design tasks.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structur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Seven visual design students were first interviewed to understand their practical experiences and preferences when using ChatGPT.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an integrated TAM-TTF model was constructed, and a corresponding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 total of 337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with results indicating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model.The findings indicate that task-technology fit (TTF), perceived usefulness (PU), and ChatGPT’s technological features (TEC) are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ontinued use of ChatGPT for design tasks and their willingness to recommend it to ot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optimization strategi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encompassing teaching methods, cognitive scaffolding, institutional support,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addition, development strategies are proposed for AI developers, including the design of functional modules, guidance mechanisms,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tailored to visual design students. It is hoped that these insights will provide a reference for promoting the intelligent transformation of design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검증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춘려(Chunli Zhou),리메이르(Meile Le),정의태(Euitay Jung). (2025).디자인 교육차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학생의 ChatGPT 지속사용 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392-407

MLA

주춘려(Chunli Zhou),리메이르(Meile Le),정의태(Euitay Jung). "디자인 교육차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학생의 ChatGPT 지속사용 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392-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