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based on Big Data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601~6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유아+창의성', '유아+인성', '유아+창의성+인성'를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 약290MB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와 2차의 정제 과정을 거쳐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주요단어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요단어는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회연결망분석(네트워크 유의성 검정, 중심성-연결정도, 근접,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아 창의성과 유아 인성은 공통적으로 '교육'과 '프로그램'에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창의성' 관련 데이터에서는 인성이 주요 데이터에 포함되었지만 '유아 인성' 관련데이터에서는 창의성이 주요 단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창의인성'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회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아 창의성과 유아 인성은 모두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와 함께 관련 교육 프로그램, 교육 환경, 교육 방법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asures to connect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based on big data. To achieve this aim, an online, search using the keywords ‘creativity + young children,’ ‘character + young children,’ and ‘creativity + character + young children’ keywords was done by the author that resulted in 290 MB of data col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5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matrix data, and social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are being socially recognized, have a common relation with ‘education’ and ‘program.’ In addition, data related to ‘creativity + young children’ showed that character was frequently found in a major portion of the data while data related to ‘character + young children’ did not include creativity. Finally, the analysis of ‘creativity + character + young children’ data indicated that there have been great interests and attention in ‘sociality.’ It also showed that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are being socially recognized, have close relation with education, and people’s interests have been in education program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6).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4), 601-627

MLA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2016): 601-6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