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for Domestic Sex Education of their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순 김민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397~41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성교육은 1차적으로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부모에 의한 영향력 또한 크다. 그러나 부모는 자녀와 성에 대한 대화를 나누거나 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자녀에게 성교육을 하는 것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기 북부 소재 Y군의 H초등학교 3-6학년 학부모 28명이 참여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동수로 배치되었다. 총 6회기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자신의 성에 대한 태도변화와 자녀와의 성에 대한 담화를 나누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줄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자녀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에서 성교육이 불필요하다거나 성기나 순결교육 위주의 성교육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가 자녀를 위한 성교육을 하는 것을 돕기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접근들이 시도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주장할 수 있었으며 향후 활성화의 필요를 제안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Domestic sex education is a primary teaching method to develop knowledge on sex and positive attitudes in children.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domestic sex education is better than other sex education programs. However, many parents have specific difficulties in a sex-focused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Based on these difficulties of parents, we develop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educating children about sex. Twenty eight school parents of H elementary school in Y-gun, plac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gi-do province were subjects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formation on sex education by a school newsletter during the same period. Both groups had a pre-test and post-tes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test consisted of questions on sex knowledge, sex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sex education. Analyzes were done by paired and independent t-tests on the variation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of the grade for the knowledge test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change in the parents’ attitude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 attitude on sexual manner and sexual violenc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ird, it was significan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ly changed providing sex education to children for two sub factors, ‘Unnecessary for Sex Education’ and ‘Education in Sexual Morality’. With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improving parents’ sex knowledge and positive change on attitude for sex education, due to the unconventional program with included various experiences, games, discussions, role-plays, and pictures book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