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이용수  16

영문명
Exploring Problem-Solving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Field Experience: Adapting the Concept of 'Third Spac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원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537~55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habha의 제 3의 공간(third space) 개념을 적용하여 교육실습 기간 중 예비유아교사들이 겪는 갈등과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을 탐색 및 해석하고, 공간을 구축하는 데 촉진 요인과 방해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예비유아교사 8명의 심층면담과 예비교사가 작성한 저널 등의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유아교사가 제3의 공간을 구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반의 일원이라는 정체성 구축,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서 적용, 유아의 문제해결을 위한 조력, 문제해결전략을 구상을 한다. 제3의 공간 구축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실습지도교사와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형성과 정서적 지원이 있었다. 반면 제3의 공간 구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제한된 실습기간, 각 실습지마다 요구되는 업무의 차이, 실습생을 위한 지원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와 교육의 방향, 교육실습의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8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4-year college. After having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ng journal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results, first of all, in relation to the process to create a third space, the pre-service teachers are creating an identity as a member of a class, adapting theory to practice, facilitating to solve young children's problem, and hav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Next, in relation to factors to promote a third space, there are a mentor teacher and young children. Lastly, in relation to factors that hinder a third space, there are a limited period of time for field experience, a difference in responsibilities(tasks) according to placement, and limited suppor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u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원. (2016).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4), 537-558

MLA

김혜원.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2016): 537-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