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이용수 10
- 영문명
- Meaning of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dministrators in a Bookstart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 이혜정 유지안 김은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201~2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인 담당사서, 전문강사와 자원봉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각 기관에 따라 예산이 다르고, 소속기관과 담당사서에 따라 운영형태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진행의 계획과 운영은 전문강사와 자원봉사자의 재량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스타트 프로그램담당사서는 업무파악과 북스타트 프로그램 관련 행정적 업무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전문강사와 자원봉사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유아들의 도서관이용 횟수 증가,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활동 제공,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증진에 도움을 주는 것에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스타트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본질 찾기, 북스타트 프로그램 홍보, 교재교구 지원, 운영자 대상의 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ways to activate a bookstart program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the administrators who have experience with a bookstart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librarians who were in charge of the the program,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in that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okstart program appeare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 administration, particularly depending on the character, budget and librarian for each affiliated organiz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seem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Second, the librarians in charge of the bookstart program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administrative work related to the bookstart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had difficult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ors seemed to think that the children’s program was rewarding because of the increased number of visitations to the library, the activation part of the program that helped infant’s development, and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ird, activation of the bookstart program was needed to find the essence of the bookstart program, to promote the program for support of materials and textbooks, and to reeducate the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y recognizing what administrators think, we can consider meaningful ways to promote bookstart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