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17
- 영문명
-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 Narration -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in basic · intermediate level courses -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옥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415~4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래동화구연을 활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문화의 이해력을 증진시킴은 물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해님과 달님>이 한국 사람이면 어려서부터 익숙한 동화인데다 다른 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나라의 문화에 맞게 전승되고 있어 다방면의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래동화구연을 통한 문화교육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화 언어적 특징과 문화내용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다. 또한 초·중급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반복되는 문장이 많아 이해가 용이하고, 올바른 어감과 일상생활의 표현들을 쉽고 자연스럽게 습득토록 해주어 흥미롭게 문화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초·중급의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모델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주제(오누이의 정)와 학습목표에 맞게 개작된 어휘를 사용하여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의 텍스트를 재구성해보았다. 즉, 1, 2, 3급에서 주로 활용되는 어휘와 문법을 선택하여 주제에 맞는 문화교육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not only to enhance Korean culture, but also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mooth communication targeting married immigrant woma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 narration. Moreover,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in childhood educa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directions in education to form identity and background knowledge as well as to provide cultural contents and elements inherent in traditional fairy tales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문화교육 실태
Ⅲ. 한국어문화교육에서 전래동화구연의 활용 방법
Ⅳ. 전래동화구연을 통한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문화교육
Ⅴ.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