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eory of Mind, Language Ability, and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은 지성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319~3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총 170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75.32개월이었다. '마음이론', '구문의미이해력(KOSECT)', 'K-ABC' 검사도구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인지처리능력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인지처리능력은 유아의 마음이론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영역 별로 분석한 결과, 유아의 인지처리능력의 하위영역인 동시처리가 마음이론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순차처리가 마음이론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구문구조가 마음이론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of the theory of mind, language ability and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Participants were 170 children (mean age = 75.32 months) attending kindergartens in Korea. It used the ‘Theory of mind task’, the ‘Construction Meaning Comprehension Test’,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for the collection of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0 program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theory of mind and language ability, and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Second,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was a predictable variable affecting young children’s theory of mind. In the subscale, simultaneous processing ability, and sequential processing ability as sub categories of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and syntax structure, a sub category of language ability,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theory of min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