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Action Research for Picture Book Parenting on Small Group Class in a Child Care Support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육길나 강은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269~2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D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가정양육지원을 위해 수행된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이 실행되는 과정과 수업에 참여한 부모들에게 나타난 변화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모소모임 교육의 실행은 매주 1회, 1시간씩 총 8차시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계획되었으며, 부모들과의 사전면담과 매 차시별 평가에 나타난 요구를 반영해 1차 실행과 평가, 2차 실행과 평가로 진행되었다. 부모들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크게 '내 자녀 알아가기, 그림책 육아입문하기', '그림책 실습으로 육아에 다가서기', '그림책육아로 행복한 부모되기'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소모임 교육이 부모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통해 그림책을 자녀와 함께 읽는 기쁨을 줄뿐만 아니라 육아에 대한 자신감도 갖게 해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picture book parenting on small group class in a child care support center at D city, and to observe how the attitudes of the twelve participating parents changed during the class. This small group class was done one hour per a week over 8 sessions. Interviews and journals by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rents became aware of their kids’ book preference, and learned the meaning of picture book parenting. Secondly, participants understood the way of bringing up their kids as they practiced how to read books. Thirdly, parents learned how to become happier parents by applying picture book parenting.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the picture book parenting technique on a small group class gave parents the pleasure of shared book reading with their kids, and empowered them in child rear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