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이용수  70

영문명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Wordless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연규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75~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분야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유아교육 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를 기반으로 석·박사학위논문과 등재(후보)학술지를 검색하여 총 98편의 글 없는 그림책 관련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연구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글 없는 그림책 연구는 1997년 이래로 현재까지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매 해 5편 이상의 연구가 진행된 연도는 2000부터 2007년까지의 8년간과 2011년, 2014년, 2015년으로 최근 글 없는 그림책과 관련된 연구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만 5세 유아가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연구의 유형으로는 글 없는 그림책의 효과를 검증한 효과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글 없는 그림책을 도구로 이용한 도구연구, 글 없는 그림책의 특정 작가나 특정 작품을 분석한 자체연구,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 교사, 부모의 반응을 조사한 반응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글 없는 그림책연구의 동향은 특정 연령(만 5세), 특정방법(양적연구), 특정유형(효과연구)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글 없는 그림책의 효과는 강조되고 있고 글 없는 그림책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 높은 편이나, 유아교육의 현장에서 글 없는 그림책이 활용되지 않은 현실을 고려할 때,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미구성 과정을 밝히는 연구와 함께 글 없는 그림책의 유형별 교수전략 관련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studies on wordless picture books. Sixty-nine theses, 2 dissertations and 27 articles were selecte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wordless picture book has consistently been conducted since 1987. Second, concerning the trends for methods used in these study, experimental researches was the most common method, followed by in descending order descriptive methods, qualitative methods, and mixed method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ird, 5 year old children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in wordless picture book research. Forth, regarding the trend for research type, most of the research was effect research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wordless picture books and their book activities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children`s development. Some research was on the popularity and distinctiveness of wordless picture books or on the various styles of the illustrators. Other researches on wordless picturebooks dealt with the responses of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his study determined from the analysis that previous research on wordless picture books focused too much on a certain age, method, and type of research. Despit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wordless picture books emphas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ordless picture books are rarely used in kindergarten classroom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es on teaching strategies for wordless picture books are needed and that these studies focus on including diverse age groups and research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규. (2016).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4), 75-97

MLA

이연규.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2016): 7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