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이용수  76

영문명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rough Teachers' Experience of Daily Beaut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713~73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름다움에 대한 교육을 받은 유아교육과 대학원생들이 인식하게 되는 일상 속 아름다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상에서의 아름다움이 유아예술교육에 주는 함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15주간의 대학원 수업과 이와 병행하여 진행된 14주간의 프로젝트 모임을 통해 아름다움에 대해 공부하고, 자신의 유아교육 관련 경험을 바탕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사유를 확장시켰으며, 일상 속에서 체험한 아름다움을 체험적 글쓰기를 통해 기록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토론 자료를 전사하고, 각자의 체험적 글쓰기 자료, 사진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trauss &Corbin(2001)의 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일상에서 조우하는 자연, 사물, 사람을 아름다운 대상으로 인식하였으며, 아름다운 대상과의 만남을 통해 아름다움에 대한 표현과 사유를 확장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상은 아름다운 존재로 가득하고, 일상에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널리 깨어있음은 유아예술교육의 주체인 유아교사의 심미적 안목과 감수성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경험이며, 유아예술교육이 유아와 교사의 일상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Humans aspire for beauty and they should be able to enjoy beauty in their everyday experiences for over their whole lives. Especially, compared to other periods a person's life, early childhood is a period when children feel and enjoy beauty in everyday experiences and have active aesthetic experiences. Thus, there should be education on beauty that can provide support during childhood. However, young childhood teachers are in a kind of paralysis numbing their senses, and for this reason, they are not finding beauty in their daily lives, which is a source of art. This study examined the beauty in everyday life that is perceived by teachers who were educated on beauty, and tried to explore a new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at has been avoided by young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nature, things, and people as beautiful objects and expressed and thought about beauty through their encounters with beautiful objects. The teachers' state of being awake presents a new possib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ill serve as a foundation to reconstruct the future society through beau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일상 체험을 통한 아름다움 인식
Ⅳ. 일상의 아름다움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Ⅴ.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6).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4), 713-734

MLA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2016): 713-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