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use of Smart-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승 양다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629~6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 환경의 어려움과 문제점 및 기대에 대해 알아보고, 미래사회의 유아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최종 251부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스마트러닝 교육환경,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 경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 경험, 유아의 스마트 기기 활용, 스마트러닝활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자료 보급, 스마트러닝의 학습 효과, 스마트러닝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스마트 TV와 휴대용 태블릿 사용이 높았고, 교사 1명이 다수 유아를 대상으로 일반교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당 스마트러닝 일수는 매일 또는 일주일에 1∼2회가 가장 높았고, 일일 스마트러닝 수업 시간은 30분미만이 가장 높았다. 스마트러닝 활용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통한 수업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음악, 동영상 시청이 가장 높았고, 쌍방소통의 교육보다는 일방적인 교육이 가장 높았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한 자료보급과 같은 기반이 적다고 인식하였고,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의 개발과 기기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smart-learning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learn about the challenges and problems and expectations of the smart-learning community,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promoting next generation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future. To underst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study subject, random sampling was done by targeting 16 kindergarten and nursery teachers in Busan and 251 final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smart-learning environment, earning experience utilizing smart devices, classroom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s, children using smart devices, application and data dissemination, effect on learning in smart-learning, and need for smart-learning.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devices mainly used were portable tablets and smart TVs and one teacher used the smart device targeting a group of children. The number of days of smart-learning of everyday or twice a week is the most, and the class hours of daily smart-learning is in under 30 minutes is the most. To increase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during smart learning lessons, listening to music and watching videos watching constituted a large part of the education. Smart-learning education was one-sided rather than frequent communication between two parties. In addition, there was an inadequate platform for using smart-learning such as data dissemination. To better use smart-learning, various education materials and learning devices and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