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미승 박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581~6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P시, G시에 소재한 246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관계와 직접·간접효과를 알아 보기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요소와 직무만족은 정적상관, 이직의도와는 부적상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호작용공정성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경로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만족을 매개로한 간접 효과가 나타나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주는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와 직무만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한편 분배공정성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조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 변수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보육교사들이 조직공정성에 있어서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직무만족을 높여 간접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보육기관 운영 시 조직공정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조직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공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e suggest implications for job conditions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checking job satisfaction`s mediation role in the effects of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s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determin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and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246 childcare teachers who live in P and G cit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ach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static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s, and especially, interactional justic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Second, each participant in the study showed that the case for procedural justice does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is invers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Prior studies also have shown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Meanwhile distributive justice has not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but interactional justic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it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job satisfaction. When job satisfaction is greater, the turnover intention will be lower. Higher performance with highly appraising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leads towards benefits and rewards and retains employees more than low job performance which can become a case for turnover. Therefore, the organizations need to fortify organizational justice, which will increase interactional justice between their leaders and members, so that they may understand each other. That will result in a lower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