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determination By Career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511~5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자기결정성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Katz(1985)의 교사발달단계이론을 근거로 한 유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이들 요인들이 맺는 관계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 28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 및 교사효능감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능감, 긍정적 미래지향성, 감정조절요인이, 일반적 교사효능감에는 관계성, 긍정적 미래지향성,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자기결정성이 교사효능감과 맺는 구조적 관계에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경력 교사의 경우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사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유능감, 긍정적 미래지향성, 자율성으로 동일하였으나 유능감과 긍정적 미래지향성은 정적영향을, 자율성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능감과 감정조절이 정적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 교사효능감에는 관계성,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thesis tried to determine how ego-resilience and self-determination affect teacher efficacy and clarify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types of relatedness these two factors have in accordance with the care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Katz's developmental stages of teachers(1985). For this study, a total of 285 participants was surveyed who worked at kindergartens in the Daegu & Gyeongbuk area.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self-determination and teacher effica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Competence, which is a sub-factor of self-determination, positive future orient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ego-resilience and emotion control have effects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at order. The relatedness of self-determination,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nd diversity of interest and concern have an impact on general teaching efficacy in that order. Second, in the case of difference by careers in structural relatedness of ego-resilience and self-determination with teacher efficacy, competence,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nd autonom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of less experienced teachers. However, competence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re positive, contrariwise, and autonomy negative. In the case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s, competence and emotion control positively affect personal teaching efficacy, relatedness and diversity of interest and diversity of interest and concern affirmatively influence general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