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이용수 4
- 영문명
-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perience of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chool Lif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희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777~7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유아교사가 첫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안정적으로 교직에 적응해 갈 수 있는 지원방법을 모색해 보려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D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이다. 연구자료는 초임교사에게 가장 의미있는 존재인 동료교사, 유아,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에서 경험하고 느낀 에피소드를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저널과 심층면담, 반구조화된 설문지이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는 명령하달의 수직적 관계, 눈치껏 호흡맞추기, 개인적 친밀감과 관계의 형성, 초임교사의 모델링이 되는 선배교사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와의 인간관계에서는 정체성 갈등, 초임교사에게 힘을 주는 유아들, 교사로서 느끼는 작은 성취감과 기쁨이 셋째,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에서는 선배교사의 그늘에 가려진 작은 존재, 자녀의 반응에 좌우되는 학부모 태도, 최 일선에서 학부모를 만나는 원의 막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교사 교직생활에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가 가장 영향력이 크므로, 직장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원 간 공식적·비공식적 교류 프로그램을 통한 협력적 조직문화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ways that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better supported for a more stable school life by deeply understandi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us, this study was done on 5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eachers' diary journal writings on their episodes experienc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or between colleag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had a vertical commanding structure, reading between the lines, development of intimacy, and choosing senior teachers as role models.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was revealed as a conflict of identity,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as a teacher. Third,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was perceived as a powerless teacher overshadowed by senior teachers, parents' attitudes dominated by children's responses and a frontline person to deal with the par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ould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supporting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needed by developi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formal or informal interactive programs at work.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루소의 언어교육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