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R-learning Program based on Interactivity of Intelligent Robo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735~7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R-러닝의 핵심요소인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기초로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R-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R-러닝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와 교사대상의 요구도 조사를 통해 로봇 고유의 상호작용성(감정교류, 이동성 및 자율동작 등)을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R-러닝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구성된 프로그램 모형 시안을 제안하고, 전문가협의 과정을 통해 유아가 주도적으로 로봇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6개 활동범주 28개 활동으로 구성된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로봇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고, 로봇을 매개로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을 제안함으로써 교사 측면에서는 R-러닝 활동 개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유아 측면에서는 로봇을 매개로 적극적으로 사회·정서적인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사고능력의 함양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ear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learning for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interaction of the key elements of the R-learning. R-learning program based robot interaction is a unique interactive navigation shown in previous research as a key element in each of the interactivity(mutual sympathy, mobility, autonomy, etc.). The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contents validity, the study designed the program's purpose and goal, content, instructional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Later, the study developed a final program through a review,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of the contents and field suitability gained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in terms of the teacher to be able to promote the cultivation of thinking skill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resolving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R-learning activities mediated by intelligence robo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그림책의 문화적 읽기 과정 탐구
- 일본 그림책의 한국어 제목 번역 유형과 의미변형
-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 루소의 언어교육론
- 유아의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및 인지처리능력 간의 관계
-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R-러닝 프로그램 모형 개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초임 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
- 유아 성교육 그림책 교육내용 분석 - 2015 유치원 성교육표준안을 기준으로 -
-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 환상그림책에서 비튼 결말의 양상
-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개인적 지능 요소에 기초한 유아 협동적 문제해결활동 프로그램 개발
-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 일상의 아름다움 체험을 통한 유아예술교육의 방향성 모색
-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코스페이시스와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VR 시스템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