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45

영문명
Metaphor Analysis of Picture Book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조은 김태경 조희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295~31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신념체계와 인식을 알아보기에 적합한 은유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 경남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예비유아교사 144명으로, 수집된 자료를 은유분석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범주화 및 수치화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은 개방적 읽기, 교육적 효과, 간접경험, 그림책의 자체적 특성, 흥미유발, 창의적 구성, 놀이, 포괄성, 교훈성, 단순성의 총 10개의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림책의 효용성 및 교육적 효과를 넘어서서 그림책 고유의 본질적 가치를 인식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림책이 유아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성인과 아이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폭넓은 연령층의 독자들을 아우를 수 있는 예술적 문학작품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의 방향성 및 유아문학 활동과의 연계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icture books with the metaphoric analysis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determining people's belief systems and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urveyed 14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attending colleges o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organizationally categorized and statistically quan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for metaphor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icture book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as follows: open read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indirect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stimulation of interest, creative composition, playfulness, comprehensiveness, instructiveness and simplic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perceive the fundamental values of picture books beyond their efficac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discussed how teacher education should be in terms of direction and how it should be associated with children's literature activities to help thos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at picture books are not only for young children, but a from of literary art which is for people of all ages including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조은,김태경,조희숙. (2016).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4), 295-317

MLA

이조은,김태경,조희숙.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2016): 295-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