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에스토니아의 실과 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Practical Arts Subject in Estonia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장현진(Hyun Jin Ja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2호, 27~5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3년 개정된 에스토니아 기초학교 국가 교육과정의 실과 관련 교과 교육과정을 심층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에스토니아의 국가 교육체제 및 교육 정책을 분석하고,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내용 특징을 분석하며, 이에 기반하여 에스토니아의 실과 관련 주요 교과로서 기술 교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스토니아는 1~9학년 기초학교를 의무교육으로 하고, 중학교 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의 다양한 직업교육 경로를 제시하며, 기술과 정보 교육이 강화된 교육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둘째, 에스토니아의 국가 교육과정은 법령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기반으로 하지만, 지역과 학교의 여건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에스토니아는 우리나라의 실과 교과에 해당하는 기술 교과를 1~9학년 동안 필수 교과로 설정하고 있으며, 과학 및 사회 교과의 일부 과목과 선택과목(정보학, 창업교육, 진로교육)을 통해서도 실과 교과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에스토니아 기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학습성과(성취기준)는 한국의 실과 것에 비해 개수가 적고 추상적이고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선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실과 교과의 연속적인 편성과 운영 시수의 확대, 일과 기술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체적인 과정을 경험하는 교육과정 설계, 실과 교과 내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 방안 마련, 학교와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과 전문성 제고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actical Arts-related subject curriculum in the 2023 revised national basic school curriculum of Estonia.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Estonia’s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al policies, analyzes the structure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explores the structure, content, and features of the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as a major Practical Arts-related subject in Estonia.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stonia mandates basic education from grades 1 to 9, provides various vocational education pathways from secondary to higher education, and actively implements policies that strengthen technology and information education. Second, while the national curriculum is grounded in legislation and official curriculum documents, it emphasizes school-based curricula, enabling curricula to be tailored to local and school-specific contexts. Third, Estonia designates the Technology subject, the equivalent of Korea’s Practical Arts subject, as a compulsory subject for grades 1 to 9. It also covers Practical Arts subject contents through certain Scienc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as well as elective subjects such as Informatic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contents and learning outcomes (achievement standards) in Estonia’s Technology curriculum are fewer, but more abstract and comprehensive, compared to those in Korea’s Practical Arts curriculum. This requires greater autonomy and professional expertise from schools and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expanding the continuity and instructional hour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from elementary through middle school, designing curricula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work and technology from start to finish, developing theme-based integrated instruction within the subject, and strengthening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schools and teacher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에스토니아의 교육체제 및 교육 정책 분석
Ⅲ. 에스토니아의 국가 교육과정 분석
Ⅳ. 에스토니아의 실과 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현진(Hyun Jin Jang). (2025).에스토니아의 실과 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 (2), 27-51

MLA

장현진(Hyun Jin Jang). "에스토니아의 실과 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2(2025): 27-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