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72

영문명
Keyword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 Analysi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cross Disciplines(2020-2024)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윤지원(Ji Won Yoon) 박은하(Eun Ha Park)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8호, 903~93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능 관련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주요 주제어를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주제어 특성을 파악하고 연도별 및 학문 분야별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주제어의 특성은 표기와 개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표기는 주로 한국어로 하는데 영어, 한국어와 외국어의 병기 등 다양하게 적었다. 주제어의 개수는 평균 5개 정도를 작성하였는데 주제어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 1개이고 가장 많은 것은 24개였다. 다음으로 주제어의 연구 동향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 관련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인공지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빈출 단어로 매번 나왔고 2020-21년에는 ‘딥러닝’, ‘learning’, 2023-24년에는 ‘생성형’, ‘GPT’가 빈출 단어로 나타났다. 학문 분야별에서도 ‘인공지능’ 관련단어가 빈출 단어로 등장하였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4’, ‘차’, ‘알고리즘’, 공학과 자연과학에서는 ‘learning’, ‘딥러닝’, ‘deep’, 복합학에서는 ‘생성형’, ‘chat’, ‘챗’, 인문학에서는 ‘chatgpt’, ‘윤리’, ‘리터러시’, 예술체육학에서는 ‘음악교육’, ‘생성’, ‘콘텐츠’, 의약학에서는 ‘machine’, ‘medical’, ‘neural’, 그리고 농수해양학에서는 ‘자율운항선박’, ‘신경망’ 등이 다른 학문 분야와는 달리 나타나는 단어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기술의 최신 동향을 빠르게 반영하고 있으며 인공지능기술의 다학제적 확산과 융합적 적용 양상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keywords in artificial intelligence(AI)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20 to 2024,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nnual trends, and disciplinary variations. First, the keywords were examined in terms of notation and quantity. They were mostly in Korean, but there were variations such as English or a combination of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On average, approximately five keywords were listed per paper, ranging from one to twenty-four. Next, an analysis of keyword trends by year showed that the terms represe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stently appeared frequently as keywords. From 2020 to 2021, “deep learning” and “learning”were common, while in 2023-2024, “generative” and “GPT” were frequent keywords. In the social sciences, keywords such as “4차”(industrial phase) and “algorithm” were common.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learning,” “deep learning,” and “deep” were frequently used.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keywords such as “generative,” “chat,” and “챗”(chat) appeared most often. In the humanities, “ChatGPT,” “ethics,” and “literacy”were notable in terms of frequency.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keywords such as “music education,” “generation,” and “content” stood out. In medical sciences, frequent keywords included “machine,” “medical,” and “neural.” In agricultural, marine, and fisheries sciences, keywords such as “autonomous ships” and “neural network” appeared,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 fields. The study highlights the diversity of AI research across disciplines, with evolving keyword trends reflecting the advancements in the field. AIrelated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원(Ji Won Yoon),박은하(Eun Ha Park). (2025).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지식과 교양, (), 903-931

MLA

윤지원(Ji Won Yoon),박은하(Eun Ha Park).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지식과 교양, (2025): 903-9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