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eyword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 Analysi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cross Disciplines(2020-2024)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윤지원(Ji Won Yoon) 박은하(Eun Ha Park)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903~9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능 관련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주요 주제어를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주제어 특성을 파악하고 연도별 및 학문 분야별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주제어의 특성은 표기와 개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표기는 주로 한국어로 하는데 영어, 한국어와 외국어의 병기 등 다양하게 적었다. 주제어의 개수는 평균 5개 정도를 작성하였는데 주제어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 1개이고 가장 많은 것은 24개였다. 다음으로 주제어의 연구 동향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 관련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인공지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빈출 단어로 매번 나왔고 2020-21년에는 ‘딥러닝’, ‘learning’, 2023-24년에는 ‘생성형’, ‘GPT’가 빈출 단어로 나타났다. 학문 분야별에서도 ‘인공지능’ 관련단어가 빈출 단어로 등장하였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4’, ‘차’, ‘알고리즘’, 공학과 자연과학에서는 ‘learning’, ‘딥러닝’, ‘deep’, 복합학에서는 ‘생성형’, ‘chat’, ‘챗’, 인문학에서는 ‘chatgpt’, ‘윤리’, ‘리터러시’, 예술체육학에서는 ‘음악교육’, ‘생성’, ‘콘텐츠’, 의약학에서는 ‘machine’, ‘medical’, ‘neural’, 그리고 농수해양학에서는 ‘자율운항선박’, ‘신경망’ 등이 다른 학문 분야와는 달리 나타나는 단어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기술의 최신 동향을 빠르게 반영하고 있으며 인공지능기술의 다학제적 확산과 융합적 적용 양상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keywords in artificial intelligence(AI)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20 to 2024,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nnual trends, and disciplinary variations. First, the keywords were examined in terms of notation and quantity. They were mostly in Korean, but there were variations such as English or a combination of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On average, approximately five keywords were listed per paper, ranging from one to twenty-four. Next, an analysis of keyword trends by year showed that the terms represe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stently appeared frequently as keywords. From 2020 to 2021, “deep learning” and “learning”were common, while in 2023-2024, “generative” and “GPT” were frequent keywords. In the social sciences, keywords such as “4차”(industrial phase) and “algorithm” were common.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learning,” “deep learning,” and “deep” were frequently used.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keywords such as “generative,” “chat,” and “챗”(chat) appeared most often. In the humanities, “ChatGPT,” “ethics,” and “literacy”were notable in terms of frequency.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keywords such as “music education,” “generation,” and “content” stood out. In medical sciences, frequent keywords included “machine,” “medical,” and “neural.” In agricultural, marine, and fisheries sciences, keywords such as “autonomous ships” and “neural network” appeared,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 fields. The study highlights the diversity of AI research across disciplines, with evolving keyword trends reflecting the advancements in the field. AIrelated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