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nsidering Care for a Good Society after the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the Recovery of Community Principles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mpassion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박정승(Jung Seung Park) 강은진(Eun Jin Kang)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735~77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경제적 가치 중심의 성장지상주의 시대를 지나, 이제는 사회적 가치가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본고는 로버트 벨라의 ‘긍휼을 통한 상호 관심과 의존이 바탕이 된 돌봄’이 중심인 ‘좋은 사회’가 현재의 돌봄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이를 완성할 수 있는 핵심원리로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돌봄의 논의를 고찰한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사이, 우리를 지지하고 견디게 해주던 다양한 공동체는 해체되거나 그 기능이 변모하였고, 오늘날 우리 사회를 포함한 전 세계는 기후 재앙과 환경 위기,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전 지구적 차원의 위기 속에서 인류의 생존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끝없는 탐욕과 이기적 욕망이 빚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제적 가치에 치우친 접근을 넘어서, 공동선을 중심에 둔 책임 있는 태도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경제적 가치창출을 넘어, 공동체의 이익을 증진하고 사회문제와 인류 공동의 위기를 해결하려는‘좋은 사회’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모든 인간에 대한 존중, 긍휼에 바탕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돌봄, 연대성에 기반한 상생과 협력, 공공의 이익을 증진하는 공공성, 다양성의 존중과 상호 평등 등을 토대로 공동체는 회복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좋은 사회가 구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좋은 사회란 긍휼의 마음으로 서로를 돌볼 수 있는 돌봄이 중심이 되는 사회이다.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 그리고 책임의식을 통해 공동체의 회복이 가능하다. 전통적으로 종교는 시장의 효율성에 대항하여 빈곤층을 구제하고 소외된 이들을 보살피며 저발전 국가의 공공인프라를 개선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증진에 큰 기여를 해왔다. 현대 사회는 새로운 가치체계를 통해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전환 속에서 '좋은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 종교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종교를 비롯하여 이제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앞장서서 긍휼의 가치를 바탕으로 좋은 사회 실현에 동참해야 할 때이다.
영문 초록
Modern society has moved beyond growth-oriented economic values, with social values emerging as a new discourse. This paper argues that Robert Bellah’s concept of a ‘good society,’ centered on ‘care based on compassion, mutual concern, and interdependence,’ can be the key to resolving the current care crisis. The study advocates for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principles as the core mechanism to achieve this goal.
Various communities that once supported us have been dismantled or transformed. Today, the world faces existential threats from global crises such as climate catastrophe and the COVID-19 pandemic, fundamentally stemming from humanity’s endless greed and selfish desires. To overcome these crises, we must move beyond approaches focused solely on economic values and adopt responsible attitudes centered on the common good while pursuing sustainable societies.
Communities can be restored through respect for all human beings, compassion-based care for the socially vulnerable, solidarity-grounded cooperation, promotion of public interest, and respect for diversity and equality. A good society is one where care, rooted in compassion, becomes central to human relationships. Community restoration is possible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trust, and responsibility. Traditionally, religion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enhancing social values by relieving the poor and caring for the marginalized. In this era of transition, the role of religion in building a ‘good society’ is more important than ever. It is time for all members of society to realize a good society based on compass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좋은 사회와 공동체 원리
4.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역할과 기여
5. 구체적 정책방안과 제도적 함의
6. 나아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