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이용수  75

영문명
A Study on the Advancement Strategies for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정형근(Hyung Geun Jung)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8호, 523~55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이주배경학생의 학습권과 진로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고도화 방안을 거시적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이주민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언어·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공교육에 진입하면서, 다문화교육 정책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어학급(KSL)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 중심의 생활한국어교육과 학습한국어교육의 병행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 학습 지원의 미흡, 진학·진로지도 체계의 부재 등 여러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교육청의 정책자료 분석과 더불어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학생 및 교원 면담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어 연계 학습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지역자원 연계 진학·진로 교육과정의 확장, 교사 및 학부모 대상 연수 강화 등 세 가지 방향의 고도화 전략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향후 이주배경학생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면서도 실질적 교육 기회를 보장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macro-leve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administered by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focusing on ensuring the educational and career rights of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s the number of students from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in public education increase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lasses have expanded, particularly in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Despite the integration of both communication-oriented daily Korean instruction and academic Korean instruction, limitations remain in supporting subjectspecific learning and in providing effective academic and career guidance. Based on an analysis of core policy documents from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this study proposes three strategic directions: (1)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cademic Korean curriculum linked to students’ mother tongues, (2) the expansion of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through connections with local resources, and (3) the reinforce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nd parents. This research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for designing inclusive and responsive curricula that respect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of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while ensuring equitable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목차

1. 서론
2. 연구 배경
3. 충남교육청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현황 분석
4.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형근(Hyung Geun Jung). (2025).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지식과 교양, (), 523-555

MLA

정형근(Hyung Geun Jung).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지식과 교양, (2025): 523-5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