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c Church Leadership in the Digital Age : An Integrative Model of Wesleyan Ecclesiology and SMART Principles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김양희(Yang-Hee Kim) 유학곤(Hak-Gon Lu)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833~879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교회가 직면한 리더십 및 행정적 전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모델의 창의적 통합을 시도하였다. 웨슬리 교회론의 성화, 사회적 성결, 은혜의 수단, 속회구조, 평신도 사역 원리는 교회의 본질을 규정하는 신학적 기반이며, S.M.A.R.T. 모델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 설정을 통해 조직 운영의 전략성과 실행력을 강화하는 체계적 관리 도구이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본 연구는 두 이론 체계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영적 SMART 모델(Spiritual SMART)’을 제안하고, 이를 디지털시대 교회 사역에 적용 가능한 신학-전략 융합형 운영 패러다임으로 발전시켰다. 이 통합 모델은 교회가 영성과 공동체성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효율성과 전략성이라는 실행적 가치를 균형 있게 확보할 수 있는 실천적 도구로서 기능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영성 훈련 시스템, 평신도 참여 기반 리더십 매핑, 데이터 기반 선교 실천 등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Spiritual SMART의 현장 교회 적용 가능성과 지속가능한 성장 잠재력을 갖춘 패러다임임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는 단순한 이론 구축을 넘어, 신학적 전통과 디지털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통합적 교회 리더십 모델의 가능성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실천신학과 조직이론 양 영역에 의미 있는 학문적 기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he creative integration of Wesleyan ecclesiology and the S.M.A.R.T. model in order to address the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transformation challenges faced by the church in the digital age. The principles of Wesleyan ecclesiology—sanctification, social holiness, means of grace, class meeting structure, and lay ministry—serve as the theological foundation that defines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the S.M.A.R.T. model is a systematic management tool that enhances the strategic nature and execution ability of organizational ope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and measurable goals.
Based on this theoretical found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Spiritual S.M.A.R.T. model by organically combining the two theoretical systems, and developed it into an operational paradigm that integrates theology and strategy and is applicable to church ministry in the digital age. This integrated model functions as a practical tool that enables the church to maintain the essential values of spirituality and community, while also securing the practical values of efficiency and strategic nature in a balanced manner.
In particular, this study systematically presented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such as a hybrid spiritual training system, leadership mapping based on lay participation, and data-centered missional practice, thereby aiming to propose that the Spiritual S.M.A.R.T. model is a paradigm with practical applicability to churches in the field and the pot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is not onl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theoretical model bu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academic contributions to both practical theology and organizational theory by pioneering an integrated church leadership model in which theological tradition and digital culture are harmoniously combin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토대: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모델
3.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모델의 통합적 접근
4. 현대 교회를 위한 적용 전략
5. 교회 행정의 디지털 전환 전략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