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rmation of Character Identity in Sondheim’s Musicals and Its Social Significance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박문희(Moonhee Park)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225~2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손드하임(Stephen Sondheim)의 작품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지형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며 복잡한 캐릭터, 비전통적인 서사 구조, 실험적인 작곡 기법을 통해 새로운 기준을 정립했다. 손드하임의 뮤지컬은 오늘날에도 강한 예술적, 학문적 영향을 미치며, 현대 뮤지컬 창작자들에게 중요한 참고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손드하임 뮤지컬에서 캐릭터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를 탐구한다. 특히 그의 대표작 를 중심으로, 포스트모던 환경 속에서 캐릭터 정체성이 전통적인 개념에 도전하고 재구성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손드하임의 캐릭터는 고정된 존재가 아니라,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 계속해서 변화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또한, 캐릭터 정체성이 단순한 심리적 변화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변화하는 개념임을 강조한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체성 개념과도 긴밀히 연결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고정된 자아 개념을 부정하고, 정체성을 유동적이고 다층적인 개념으로 재구성한다. 손드하임의 캐릭터들은 기존의 뮤지컬 인물들과 달리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않으며, 끊임없이 변하는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캐릭터 정체성이 단순한 내러티브적 요소가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를 탐구하는 중요한 예술적 담론임을 밝힌다.
손드하임의 뮤지컬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를 탐구하는 중요한 예술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정체성 형성 과정이 뮤지컬이라는 장르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분석하며, 향후 뮤지컬 연구에서 손드하임의 세밀한 주제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Stephen Sondheim’s impact on musical theatre transcended entertainment, reshaping Broadway with complex characters, unconventional narratives, and innovative musical techniques. His influence continues to shape contemporary musical theatre, inspiring creators to explore structural fragmentation, psychological depth,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character identity in Company, analyzing how Sondheim challenges traditional notions of identity in a postmodern context. Unlike conventional protagonists with clear developmental arcs, Sondheim’s characters engage in ongoing selfexploration, negotiating between societal expectations and personal desires. Company employs non-linear storytelling and fragmented structure to emphasize identity as fluid and evolving, with Being Alive positioned at the end to disrupt the typical “I Want Song” convention. Sondheim’s use of selfreferentiality, irony, and ensemble-driven storytelling further deconstructs the classical hero’s journey.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Company critiques grand narratives and instead focuses on personal struggles with relationships, commitment, and self-definition. Bobby’s uncertainty reflects modern anxieties about identity in an evolving social landscape. Ultimately, Sondheim’s works serve as critical cultural commentaries, challenging fixed notions of selfhood and societal norms. His structural and thematic innovations continue to influence musical theatre, underscoring his lasting legacy in the genre’s evolution.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