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Artif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Music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강효진(Hyojin Kang)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13~5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美)의 관념을 전제로 하는 예술은 작가의 독창적인 형식과 논리 그리고 고도의 기교로 구현된다. 예술은 (전통적인 개념으로는) 아름다워야 하고 작가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로 감상자와 소통한다. 음악의 예술화는 악기가 발달하고 평균율이 상용화하고 학문적인 체계를 갖춘, 소위 ‘예술 음악(Musical Arts)’의 시대라는 바로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본다. 음악이 학문적·예술적으로 체계화하면서 미학적 관점에서 ‘형식의 우수성’과 ‘사실적 재현(또는 모방)’으로 구분한다. 절대음악을 표방한 바로크와 고전주의 그리고 20세기의 신고전주의와 음렬주의는 ‘형식의 우수성’; 그리고 낭만주의의 표제음악, 20세기의 인상주의와 표현주의는 ‘사실적 재현(또는 모방)’이 미학적 근간이다. 형식적 우수성의 미학은 신(神)이라는 절대적 존재가 개입되고 관념의 기준은 형이상학, 즉 진·선·미로, 조화와 균형과 품위가 절대적인 표준이었다. 사실적 재현(모방)의 미학은 형이하학적(또는 경험적) 요소인 개인적 취향과 쾌(快)였다. 음악사에서 대중화는 대중적 요소를 통한 작곡 기법, 실용 목적의 작곡, 사회적 현상, 대중의 직접적인 음악 행위 참여, 그리고 최소주의 음악(minimal music)과 전자 음악(electronic music) 등에 의해 실현되었다. 형이상학에서 형이하학으로 미학적 스펙트럼의 확장은 음악의 이분화가 아닌 역사를 통한 균형의 역학이 작용했다.
영문 초록
Art that presupposes the concept of beauty is realized through the artist’s original form and logic, as well as high-level technique. Art (in its traditional concept) must be beautiful an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message the artist intends to convey. The artification of music is considered to have begun in earnest from the Baroque period, the era of so-called ‘Musical Arts,’ when instruments developed, equal temperament became common, and an academic system was established. As music became academically and artistically systematized, it was divided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into ‘excellence of form’ and ‘factual representation (or imitation).’ The Baroque and Classical periods, which advocated absolute music, and the Neoclassicism and Serialism of the 20th century, have ‘excellence of form’ as their aesthetic foundation, while the program music of the Romantic era and the Impressionism and Expressionism of the 20th century are based on ‘factual representation (or imitation).’ The aesthetics of formal excellence involve the intervention of an absolute being, God, and the criteria of concepts are metaphysics, namely truth, goodness, and beauty, with harmony, balance, and dignity being absolute standards. The aesthetics of factual representation (imitation) were based on the metaphysical (or empirical) elements of personal taste and pleasure. In music history, popularization has been realized through compositional techniques incorporating popular elements, composition for practical purposes, social phenomena,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musical activities, and through minimal music and electronic music. The expansion of the aesthetic spectrum from metaphysics to physics did not lead to the dichotomy of music but rather a dynamic of balance throughout history.
목차
1. 서론: 논의의 목적과 절차와 한계
2. 음악의 예술화
3. 음악의 대중화
4.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의 역학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