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Strategies for Enhancing Youth Humanities Education : Focusing on the 'Youth Humanities Class' Case Study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강경균(KyoungKyoon Kang)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8호, 461~49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인문교실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운영의 효과를 질적으로 도출함으로써, 청소년 대상 인문문화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인문교실 사업계획 분석과 청소년 인문교실 관련 참여자와 전문가 그리고 다양한 질적 자료를 통하여 청소년 대상 인문사업의 운영의 효과성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청소년 인문교실 운영자 대상 효과성 분석을 위해 청소년 전국 5개권역 운영자를 대상으로 그룹별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참여 청소년의 프로그램을 함께 참여한 시설담당자의 수기집 15편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부기관, 학계에서 청소년 인문학 관련 사업을 운영하고 교육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전사된 자료로부터 개념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였다. 효과성 및 만족도, 권역별 운영시설 및 수요시설의 역량 향상, 지역사회 인문·문화환경 개선의 영역은 중복된 개념을 추상화하여 영역과 내용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활성화 방안의 경우에는 각 전문가의 의견을 심층 분석하여 청소년 인문교실 사업이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재현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의 결과에 대하여 동료 검증 및 다각적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및 효과성, 권역별 운영시설 및 수요시설의 역량 향상 (청소년 인문 강사 발굴, 프로그램 재구성 및 프로그램 변화, 청소년 관련 문제 해결 효과, 구성원의 전문성 향상, 물적·인적 자본 확충), 인문교육 활성화 방안(운영자 대상 개선 방안, 청소년 대상 인문학의 필요성, 청소년 인문교실 사업의 확대 방안)이 도출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직업계고에서의 인문교육 활성화, 학교에서의 교과와 비교과에서 인문학에 접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sures to revitalize humanities culture programs targeting adolescents by qualitatively deriving the operational effects, focusing on cases from the Youth Humanities Class project.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ject plan for the Youth Humanities Class, and the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humanities programs targeting adolescents were examined through various qualitative data—including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project operators, and experts involved with the Youth Humanities Class project. For data collection, in-depth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perators from five region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Humanities Classroom program. Additionally, 15 handwritten accounts from facility coordin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longside the youth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explore enhacning measures for this progra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who operate and educate youth humanities-related programs in government agencies and academia. Data analysis involved deriving concepts from transcribed materials and categorizing them. For the areas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capacity enhancement of regional operating and demand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community humanities and cultural environment, overlapping concepts were abstracted to derive themes according to areas and content. In the case of activating measures, each expert’s opinions were analyzed in-depth to derive meaningful themes that could represent ways to revitalize the Youth Humanities Classroom program. The validity of the data analysis results was verified through peer review and triangu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Pthe study identified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program’s effectiveness; capacity improvements for operating and demand facilities in each region (including the discovery of youth humanities instructors, program reorganization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in solving youth-related issues, enhancement of members’ professionalism, and expansion of tangible and human resources); and identified humanities education activation strategies (such as improvement measures for program operators, the necessity of humanities subjects for youth, and ways to expand the Youth Humanities Class proj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to promote humanities educati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off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counter humanities both through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schoo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경균(KyoungKyoon Kang). (2025).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지식과 교양, (), 461-490

MLA

강경균(KyoungKyoon Kang).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지식과 교양, (2025): 461-4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