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munity Problem-Solving Curricula in Liberal Arts Education : Values and Directions for Korean Implementation Based on International University Case Studies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오경은(Gyungeun Oh) 한규은(Kyueun Han)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425~45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 주요 대학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양교과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교양대학 중심 접근의 교육적·행정적 가치를 탐구하고 한국 대학 교양교육에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국 포틀랜드 주립대학, 영국 브라이튼 대학, 호주 그리피스 대학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한 결과, 교양대학 중심 접근은 간학문적 전통과 전인적 교육목표의 효과성, 중립적 위치의 파트너십 구축 역량, 민주적 지식 공동생산 모델, 문화적 맥락의 창의적 적응성이라는 네 가지 핵심 우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적 적용 방안을 다섯 가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구조적 특성 분석, 성찰 중심 학습의 한국적 재구성, 지역 파트너십 전략, 집단주의와 정 문화의 창의적 활용, 포괄적 지원 체계 구축. 본 연구는 한국 교양교육이 시민적 역량과 공공적 가치를 함양하는 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구체적 경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ommunity problem-solving liberal arts courses at major overseas universitie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value of a liberal arts college centered approach and propose application strategies for Korea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of Portland State University (USA), University of Brighton (UK), and Griffith University (Australia), the research identified four key advantages of the liberal arts college-centered approach: effectiveness of interdisciplinary traditions and holistic educational goals in addressing complex community issues; capacity for sustainable partnership building through neutral positioning and flexible operational systems;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partnership models based on mutual learning and knowledge co-production; and creative adaptability to cultural contex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Korean application strategies across five dimensions: analy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iberal education, Korean reconstruction of reflection-center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pproaches, partnership strategies with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creative utilization of Korean characteristics such as collectivism and jeong culture, and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support systems encompassing faculty-student-administrative-financial aspects.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demonstrates that liberal education can play a pivotal role in fulfilling universities’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21st century. It is significant for revealing the essential alignment between Korea’s hongik-ingan ideal and the public nature of modern liberal education, and for presenting concrete pathways for Korea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to develop beyond basic literacy education toward education that cultivates civic competency and public valu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해외 대학의 교양대학 중심 지역사회 연계 교육 사례분석과 시사점
5. 한국 대학 교양교육에의 적용 방향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