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articipatory Aesthetics of Applied Theatre through the Theory of John Dewey : Focusing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pplied Theatre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신광민(Kwang Min Shin) 조준희(Joon hui Cho)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255~28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 후반 이후 동시대 미학은 예술의 본질과 경계에 대한 근본적 재고와 함께, 플루럴리즘과 참여적 미학의 부상이라는 새로운 전환을 맞이하였다. 아서 단토가 지적한 바와 같이, 예술은 더 이상 단일한 내러티브나 고정된 미적 기준에 의해 정의되지 않고, 사회적 맥락과 개념, 그리고 관객의 해석에 따라 그 의미가 확장되는 열린 장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예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을 해체하고, 예술이 사회적·정치적 현실과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주목하는 동시대 미학의 흐름을 촉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존 듀이의 경험 미학과 벌리언트의 참여적 미학은 예술 경험이 예술가, 작품, 관객, 환경 간의 유기적 상호작용 속에서 실현되며, 예술과 삶이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실천과 공동체적 변화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한다. 이러한 미학적 전환은 연극 분야에서 관객 참여, 집단 창작, 신체적·과정 중심의 미학으로 구체화 되었고, 어플라이드 시어터는 예술의 교육적·치유적·사회적 역할을 중시하며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예술경험을 공동체적 실천으로 확장하는 대표적 실천으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와 이론적 배경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동시대 연극으로서의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기능과 미학적 함의를 조망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late 20th century, contemporary aesthetics has witnessed a fundamental rethinking of the nature and boundaries of art, with the rise of pluralism and participatory aesthetics. As Arthur Danto pointed out, art is no longer defined by single narrative or fixed aesthetic criteria, but has become an open field where its meaning expands according to social context, concepts, and audience interpretation. This shift has spurred a current of contemporary aesthetics that deconstructs the old paradigm of art’s autonomy and purity and focuses on how art intersects with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In this process, John Dewey’s experiential aesthetics and Berleant’s participatory aesthetics provide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ocial practice and communal transformation of art by emphasizing that the experience of art is realized in the organic interaction between artist, work, audience, and environment, and that art and life are inseparable. This aesthetic shift has been embodied in audience participation, collective creation, and physical and process-oriented aesthetics in theatre. Moreover, Applied Theatre has become a prominent practice that emphasizes the educational, healing, and social roles of art and extends artistic experience into communal practice in diverse life contexts.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Applied Theat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ction and aesthetic implications of Applied Theatre as a contemporary theatre.
목차
1. 서론
2.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이론적 배경
3.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