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spect and meaning of Hwanghaedogut Gongsu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홍태한(Teahan Hong)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173~1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황해도굿판의 공수(신령이 인간에내리는 말)의 종류와 특징, 의미를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에는 신령이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는 ‘높은공수’와 인간에게 신령의 뜻을 알려주는 ‘얕은공수’가 있다. 얕은공수에는 긴공수, 서린공수, 허리공수, 흘림공수가 있다. 긴공수는 재가집(신도)의 사정을 구체적으로 길게 내리는 공수로 무당이 가지고 있는 무속 지식을 활용하고 관용적 표현을 사용한다. 서린공수는 굿판에 온 여러 사람에게 내리는 공수를 무당의 즉각적인 대응 능력을 필요로 한다. 허리공수는 굿을 연행하는 도중에 내리는 공수로 영험함을 바탕으로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흘림공수는 신령이 굿청에 들어옴을 알리는 것으로 굿의 의례성을 나타내면서 공식적인 대응 능력을 보여준다. 황해도굿의 다양한 공수 형식에 무당의 여러 능력이 나타난다. 하지만 현재는 공수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면서 대부분 허리공수 형식으로 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다양한 공수의 형태를 중심으로 만신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굿판에 표출되었지만, 공수의 종류에 대한 인식이 사라지면서 만신이 가지고 있는 무속 지식보다, 재가집의 요구에 부응하는 공수를 내리는 능력이 중심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gongsu (words that spirits give to humans) of Hwanghaedogut. In Hwanghaedogut, there are ‘nopeun-gongsu’ in which the spirit expresses its existence and ‘yateun-gongsu’ in which humans are informed of the spirit’s meaning. gingongsu, seorin-gongsu, heorit-gongsu, and hullim-gongsu are examples of yateun-gongsu. Gin-gongsu is an airlift that specifically lowers the situation of jaegajip (Shindo), and utilizes the shaman’s knowledge and tolerant expression. Seorin-gongsu requires the shaman’s ability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airlift that is given to several people who come to the gutpan. The heorit-gongsu conveys the core content based on the spirit’s spirituality with the airlift that is dropped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gut. Hullim- Gongsu shows the official response ability by indicating the ritual of the gut by indicating that the spirit enters the gut. Several abilities of shaman appear in the various forms of airlift in Hwanghaedogut. However, as the perception of airlift has weakened, most of them are changing into the form of waist gongsu. In the past, the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mansin were expressed in the gutpan, centering on various types of airlift, but as the perception of the type of airlift disappeared, the ability to give airlift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homebody became more central than the shamanic knowledge.
목차
1. 머리말
2. 황해도굿 공수의 종류
3. 공수의 특징과 연행자에 따른 공수의 선택
4. 맺음말 - 황해도굿판 공수 양상의 변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