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ise and Evolution of Cool Jazz in 1950s American West: Musical Innovations and Legacy of West Coast Jazz Musicians : Focusing on the musical innovations and legacy of musicians from the West Coast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주소은(So Eun Joo)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289~32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50년대 미국 서부 해안에서 발전한 쿨재즈의 역사적·사회적 맥락과 음악적 혁신을 고찰하였다. 서부 해안 지역의 영화산업 성장, 중산층의 문화적 욕구,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인종 간 협업이라는 특수한 환경은 비밥과 구별되는 독자적 재즈 스타일을 탄생시켰다. 마일즈 데이비스의 《Birth of the Cool》을 시작으로 챗 베이커, 게리 멀리건, 데이브 브루벡 등은 클래식 기법과 재즈 화성을 결합한 절제된 사운드와 실험적 편곡을 통해 쿨재즈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Pacific Jazz Records'와 같은 레이블과 재즈 클럽들은 이러한 음악적 혁신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잡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쿨재즈가 지역적 특성과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창적 스타일을 형성했으며, 대중성과 예술성의 균형을 이루었고,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 가능성을 열었다는 문화적 의의를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cool jazz on the American West Coast during the 1950s. The region’s unique environment-growing film industry, middle-class cultural aspirations, and relatively free interracial collaboration-created a jazz style distinct from bebop. Miles Davis’s Birth of the Cool and musicians like Chet Baker, Gerry Mulligan, and Dave Brubeck established cool jazz’s identity through a restrained sound that merged classical techniques with jazz harmonies . The research confirms that cool jazz developed a unique style based on regional traits and contemporary conditions, successfully balanced popular appeal with artistic depth, and pioneered the fusion of jazz with a variety of other genres, establishing its lasting cultural significance.
목차
1. 서론
2. 재즈의 역사와 쿨재즈의 기원
3.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주요 인물
4. 서부 해안에서의 쿨재즈 발전과 영향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예술화와 대중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생성형 AI 기반 영상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재매개를 통한 예술적 상상력 연구 : 웹툰 <정년이>의 드라마화를 대상으로
- 황해도굿 공수의 양상과 의미
-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손드하임 뮤지컬의 캐릭터 정체성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 존 듀이의 이론으로 바라본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참여적 미학성 :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머신 컬쳐 시대의 예술과 기술의 성찰적 만남 :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을 활용한 교양교육 - 1950년대 미국 서부의 쿨 재즈의 형성과 발전 : 웨스트 코스트 출신 뮤지션들의 음악적 혁신과 유산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문화교류 수업과 원어민 교사 협력 학습의 성과
- 창의 교과 교양 수업에서 PBL에 기반한 협력학습이 창의성, 인성,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참여도의 매개효과에 근거하여
- 교과목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삶”의 개설 의미와 강의 진행 결과 분석
- 현대 사회에 있어 관례(성년식)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책임의식 등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언
-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안 모색 : 낯설게 하기를 토대로 한 에세이 쓰기를 제언하며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휴타고지의 확장 및 실천 가능성
- 대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융합형·참여형 교양 교육 모델 구축 : 기후변화 수업 사례 분석
- 소방현장안전점검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프로그램의 효과
- COVID-19 팬데믹 이후 좋은 사회를 위한 돌봄의 재고찰 : 긍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원리의 회복을 중심으로
-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이론 비교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교회 리더십 전략 : 웨슬리 교회론과 SMART 원칙의 통합 모델
- 2인 환자 운반법의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 평가 : PATH-KOSHA 기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관련 국내 학술논문의 연구 주제어 분석 연구 :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논문을 중심으로
- 신중국 문예정책에 따른 조선족 부채춤 작품의 양상 연구
- 진주오광대 탈 연구 : 탈 제작자 황병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양대학 중심의 지역공동체 문제해결형 교과의 가치와 한국적 적용 방향 : 해외 주요 대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인문 소양 교육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인문교실’ 사례 중심으로
- 지식과 교양 제18호 목차
- 해양경찰관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고도화 방향성 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