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Examining the Future Industry Competition using Industrial Technology Current Status Analysis: Focus on Korea, U.S. and China
발행기관
글로벌융합연구학회
저자명
이진경(Jin-Kyung Lee)
간행물 정보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3호, 31~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은 시작되었고 과학기술 주권 확보와 기술 안보는 국가의 생존 전략으로써 추진되고 있다. 특히, 첨단기술 기반의 방대한 분야를 포함하는 미래산업에 대한 국가전략들이 발표되어 국가역량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미·중 주요 지표 비교를 통해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하였고, RTA(Reverent Technical Advantage Index, 현시기술우위지수)를 이용한 기술경쟁력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연구 개발 잠재력 측면에서 대한민국은 GDP 대비 연구 개발 비율 지표는 실태와 RTA에서 상대적 우위를 보인다. 하지만 경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상황에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선도기업과 정부의 연구 개발 역할 분리와 협력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원 수는 숫자적 약세를 보일 뿐 아니라 증가세의 둔화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술의 산업화 잠재력 측면에서 대한민국의 삼극특허 건수는 미국과 중국보다 열세에 있고 RTA 값이 0.66 이하로 미래산업 기술경쟁력에 적신호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CT 산업 수지도 중국보다 5배 적은 약세를 보이고 두 국가의 최근 15년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기술 산업의 혁신성장 척도인 유니콘 기업 수와 기술 산업의 선점 및 선도 척도인 세계 최대 기술기업 수 모두 중국과 미국보다 적다. 미래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적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global technology hegemony competition has begun, and the development of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and strengthen the security and resiliency of our economies are being promoted as a national strategy. National capabilities are being concentrated for future industries based on various advanced technologies. The future industrial technology competitiveness was analyzed through the industrial technology state review in Korea, the US and China. In terms of R & D potential, Korea has a relative advantage in terms of R & D ratio as a percentage of GDP and it’s RTA.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 size of the economy is relatively small,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ncentrate, and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promote the separation and cooperation of their roles between leading companies and governments. The number of researchers is not only numerically weak, but it is also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slowdown in growth is a serious problem. In terms of the industrialization potential of technology, Korea's number of triadic patent families are not only inferior to those of the US and China, but also show a red light for future industrial technology competitiveness with an RTA value of less than 0.66. The ICT industry balance is also five times weaker than China and th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not narrowed over the past 15 years. Both the number of unicorn companies, which is a measure of innovative growth in the technology industry, and the number of the world's largest technology companies, which is a preemption and leading measure of the technology industry, are smaller than those of China and the U.S. With a comprehensive future industrial strategy, Korea is ready to do what it takes to make sure Korean businesses remain fit to achieve their ambitions and cope with increasing global technology competition.

목차

1. 서론
2. 기존 문헌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경(Jin-Kyung Lee). (2025).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4 (3), 31-48

MLA

이진경(Jin-Kyung Lee).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4.3(2025): 3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