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tent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Grades 3-4 and a Review of Related Research Trend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윤문정(Moonjung Yo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오염과 생태계 변화는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가지속발전목표를 세우고 환경보호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에도 환경·지속가능발전을 범교과 주제로 제시하여 모든 교과에서 환경보호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에서의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2025년에 출판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 단원의 활동지시문과 학습 내용을 환경소양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환경·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경과 관련 있는 23개의 활동지시문과 내용 중 환경정서 영역이 8개, 환경지식 영역이 7개, 환경실천영역이 8개로 나타났으며, 음악 영역이 드러나는 15개의 활동 중 연주(가창)가 7개로 가장 많았고, 감상이 4개로 그 뒤를 이었고, 창작이 2개, 창작과 연주가 함께 포함되어 있는 활동이 2개 있었다. 연도별 연구동향은 1999년부터 총 19편의 연구가 실행되었고, 2017년도부터는 2018년도를 제외하고 한 해도 빠짐없이 연구가 실행되어왔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연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교육접근법이 가장 많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가장 적었다.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chang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region but is a global problem. In respons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multifaceted efforts to address this challenge. Korea has also joined these efforts by establishing its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orking toward their implementati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flects this by includ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cross-curricular theme, encouraging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ility across all subject areas.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To do so, the study analyzed activity instructions and learning content in the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related units of the 2025 music textbooks for grades 3-4,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literacy. It also reviewed how actively and in what thematic areas music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23 environment-related activity instructions and learning contents identified, 8 addressed the domain of environmental disposition, 7 focused o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8 on environmental action. Among the 15 activities that clearly reflected music domains, performance (singing) appeared most frequently with 7 cases, followed by appreciation(4) and creativity(2) domains, and there were 2 cases including both creativity and performance. Regarding research trends, a total of 19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9. From 2017 onward, research has continued consistently—except in 2018—with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recent years.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educational approach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while curriculum-focused studies were the lea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안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 피부미용 관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치료적 기능 탐색
- SNS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소비자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TT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쿠팡플레이를 중심으로
- NCS 기반의 디자인 교육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홈 제품의 기능적 특성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품질요인의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T를 중심으로
- 자율주행차 특성이 자율주행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I 에이전트의 기능적·정서적 혜택이 감성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MZ세대 여부의 조절 효과
- 산지 소유자의 산지연금형 사유림매수임지 사업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구독경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IRTS) 이용자의 활용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영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 환경이 영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of Traditional Ethnic Villages in China:The Case of PengJia Zhai, a Tujia Village in Hubei Province
- 도보관광동기가 가치,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