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영선(Young-Sun Kim) 김승희(Se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2호, 35~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전라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5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 처치는 2023년 12월 4일부터 2024년 1월 19일까지 7주 동안 총 12차시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은 기후변화의 개념과 원인, 현상, 영향, 대처 방안 등에 관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를 습득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기후변화 소양, 환경 소양, 환경교수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기후변화 소양, 환경 소양, 환경교수효능감을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성공적인 유아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its effects. Researchers developed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5-step process, and examined its effects with 1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eollanam-do.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times for 7 weeks from December 4, 2023, to January 19, 202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ed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at could acquir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related to the concept, cause, phenomena, impacts, and coping measures of climate chan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limate change literacy,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t is to say,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limate change literacy,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new model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climate change education by show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Ⅲ.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보육교사의 유보통합 기대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지식과 환경행동의 관계에서 환경태도, 환경감수성 및 환경행동의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적 교수역량 앱 활용이 창의적 교수역량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0세 영아들의 ‘자기 배려’를 통한 배움의 주체성 탐구
- 아버지의 미디어 중재 유형과 유아 정서지능 간의 관계 및 영향
- 유아 토의 기반 활동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국가 간 동질적 영향: 한·중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