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arrative Strategies of Fairy Tale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heir Significance in Literary Education : focusing on First Humanities Story Seri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애(Seongae Park)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917~95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글은 아동의 실질 독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교육 목적 동화 가운데 인문학 교육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시리즈로 기획된 <처음 인문학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인물의 역할과 서사의 패턴을 확인하고, 그 문학교육적 의의를 문학능력 신장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이 시리즈는 아동인물과 위인인물의 사귐이라는 메타 서사를 패턴으로 공유하면서 아동의 현실에서 인문학적 문제를 짚고 그 대안을 서사화하고 있다. 아동인물은 위인인물과 만나고 대화하며 변화를 경험하는 서사가 전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위인인물은 친밀함을 그 특성으로 하면서, 주체성 상실과 소통의 부재로 인해 인문학적 위기를 겪는 아동인물이 성찰과 이해를 통해 변화하고, 교육받은 내용을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시리즈는 ‘아동인물과 위인인물의 만남-사귐-아동인물의 변화’라는 서사 패턴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인문학 지식을 간접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고, 아동독자의 인성교육을 꾀하고 있다. 결론: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는 인물 형상화와 서사 전개 방식은 일방적이고 직접적으로 교훈과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을 우회하여, 서사적 재미 가운데 아동독자가 지식을 받아들이고 작가들의 인문학적 권면을 수용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서사 패턴의 반복과 개성적 변형을 보이는 시리즈의 각 작품들은, 서사 문법과 인물의 특성 측면에서 유사성과 개성, 반복과 새로움을 아동독자가 함께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특성은 아동독자의 문학능력을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문학교육적 의의가 있다. 다만, 이 시리즈는 기능 중심의 인물 형상화, 서사전개의 단조로움, 전달되는 지식의 정밀성 등에서 과제를 남기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rative patterns of children literature for humanities education and their significance in literature education. Methods: This paper examined the roles of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patterns of the planned as a series, and examined its significance in literature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literary competence. Results: This series has the narrative patter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character and great figures character, and points out humanistic issues in the reality of children and presents alternative narratives. Children character play a role in developing a narrative in which they meet and talk to great figures character and experience change, and great figures have intimacy as their characteristic, and play a role in inducing children who experience a humanistic crisis due to loss of subjectivity and lack of communication to change through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and practice what they have been taught. This series shows a narrative pattern of ‘meeting-relationship- change of child characters ’, through which it indirectly conveys humanities knowledge to readers and seeks character education. Conclusion: This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development method is significant in that it allows children readers to accept knowledge and the humanistic advice of the authors while enjoying the narrative, bypassing the one-sided and direct method of conveying lessons and knowledge. In addition, each work in the series, which shows repetition and individual variation of narrative patterns, allows children readers to experience similarity and individuality, repetition and newness in terms of narrative grammar and character characteristics. Children literature for humanities educat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have literary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y enhance children readers’ literary competence.
목차
1. 서론: 아동의 실제 독서와 교육 목적 동화
2. 지식 전달과 인성교육을 위한 인물의 역할과 서사 전개패턴: 인문학 담론의 특성과 전달 방식
3. 인문학 교육 목적 동화의 문학교육적 의의: 서사의 반복과 변형, 문학 능력
4. 교육 목적 동화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