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Social Address Term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 Utterances without Explicit Address Term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윤세윤(Seyun Yun) 이지영(Jiyoung Lee) 이혜민(Hyemin Lee) 이정희(Junghee Lee)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689~7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공적 담화 맥락에서 겪는 호칭어 사용의 어려움에 주목하여 교재에 나타난 사회적 호칭어의 사용 양상과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의 유형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어 교사와 중급 이상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실시하고 『경희 한국어』와 『서울대 한국어+』의 듣기·말하기 지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가 66.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특히 고급 단계와 매체 담화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호칭어의 생략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생략형 호칭어가 사용되어 명시적 호칭어가 필요하지 않은 ‘불필요’ 유형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명시적 호칭어의 제시가 요구되는 ‘누락’ 유형, 생략형 호칭어의 선택 전략과 판단 기준 제시가 필요한 ‘적절한 호칭어의 부재’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교재에는 사회적 호칭어를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공적 담화 맥락을 반영하고 생략형 호칭어의 사용과 그 한계를 함께 교육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ies Korean language learners encounter when using address terms in public discourse contexts, analyzing the patterns of social address terms and the types of utterances without explicit address terms presented in textbooks, and deriving pedagogical implications. Metho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intermediate and higher-level learners, followed by an analysis of listening and speaking texts from Kyunghee Korean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Results: Among all address term instances, utterances without explicit address terms accounted for 66.74%,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found in advanced-level textbooks and media discourse. The study categorized the omission of these terms into three distinct types. The most frequent category was “Unnecessary,” in which omitted address terms were functionally replaced by alternative expressions, followed by “Oversight,” where explicit address terms were required, and “Lack of Appropriate Address Term,” which called for strategic choice and decision- making criteria. Conclus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a wider range of public discourse contexts where social address terms can be naturally introduced, and provide instruction that covers both the strategic use and limitations of omitted address term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및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세윤(Seyun Yun),이지영(Jiyoung Lee),이혜민(Hyemin Lee),이정희(Junghee Lee). (2025).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689-719

MLA

윤세윤(Seyun Yun),이지영(Jiyoung Lee),이혜민(Hyemin Lee),이정희(Junghee Lee).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689-7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