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Elements of Prompt Literacy Practice in Human–GenerativeAI Communication : Focusing on Contexerence-Based Meaning-Making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연지(Yeonji Kim) 한지수(Jisoo Han) 서혁(Hyuk Suh)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11~5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생성형 AI와의 프롬프트 기반 상호작용을 리터러시 문제로 조망하여, 프롬프트 리터러시 실천 요소를 규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인을 다룬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인간-생성형 AI 상호작용의 언어·의사소통적 함의를 분석한다. 인간-AI 소통의 중층적 맥락을 다루기 위한 개념적 틀로 ‘맥락통일적 의미 구성’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개념과 실천 요소를 제시한다. 결론: 프롬프트 리터러시는 ‘AI와의 상호작용에서 목적에 따라 소통의 맥락을 능동적·윤리적으로 공동 구성하는 맥락통일적 의미 구성 역량’이며, 실천 요소는 맥락 구성(맥락 틀 짓기, 맥락 정교화하기), 맥락 해석과 성찰(맥락 평가하기, 맥락 점검하기), 자기화 및 활용(맥락 적용 및 확장하기)의 차원으로 구성된다. 이는 사회·문화·기술적으로 확장될 미래 리터러시 역량으로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views prompt-based interaction with generative AI as a literacy issue, aiming to identify the elements of prompt literacy practic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literacy education. Methods: It reviews prior research on the concept and constructs of prompt literacy and analyzes the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implications of human-AI interaction. Using contexerence- based meaning-making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ddressing the multilayered contexts of human–AI communication, we define prompt literacy and outline its elements of practice. Results: Prompt literacy is defined as the Contexerence-based meaning-making competence to actively and ethically co-construct communication contexts in AI interaction. Its elements comprise three dimensions: context construction (contextual framing, contextual elaboration), context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contextual evaluation, contextual monitoring), and personalization and application (contextual application and expansion). This competence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a future literacy capacity across soci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domain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검토
4.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으로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와 교육적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지(Yeonji Kim),한지수(Jisoo Han),서혁(Hyuk Suh). (2025).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11-58

MLA

김연지(Yeonji Kim),한지수(Jisoo Han),서혁(Hyuk Suh).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1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