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Modern Poe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Fluidity, Creativity, and Complexity of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민규(Minkyu Kang)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863~915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9,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여기에서 파악된 문제의 극복을 위해 시에 결부되는 문화의 속성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그 실행 결과를 토대로 문화 교육의 실천 구도를 논구하였다. 결과: 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은 시에 투영된 문화 내용, 사유 및 정서 표현 방식과 밀착한 언어문화, 한국 문화유산으로서의 작품이라는 세 범주에서 전개되어 왔다. 이들은 교육적 의의가 있지만 한국 문화를 단편적인 것으로 환원하고 문화의 상상적 성격과 독자의 구성적 이해를 경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시를 통해 구현되는 문화의 속성이 시간적 적층과 유동성, 현실의 재주조(再鑄造)와 생성성, 상호문화적 교섭과 복합성임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각 범주들의 방향성을 재정립하였다. 결론: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화 교육의 실천 체계를 목표, 대상, 방법 층위에서 제안하였다. 문화의 속성과 범주를 각각 목표와 대상 층위의 근거로 삼고, 그 하위에 방법 층위를 두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modern poe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First, we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poetry by examining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previous studies. To overcome the problems identified here, we theoretically clarified the cultural attributes associated with poetry and proposed a practical framework for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s: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poetry has been developed around three cultural categories: cultural content reflected in poetry, ways of expressing thoughts and emotions closely related to language culture, and works as Korean cultural heritage. While these have educational significance,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reduce Korean culture to a fragmentary form and disregard the imaginative nature of culture and the reader’s constructive understanding. Accordingly,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attributes of culture embodied in modern poetry are temporal stratification and fluidity, the recasting and generativity of reality, and intercultural interaction and complexity, and based on this, it reestablishes the directionality of each category. Conclusion: To realize the attributes of cultu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orientation and system of cultural education must be restructured. Accordingly, a practical system for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modern poetry is proposed at the levels of goals, targets, and methods.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현황
3. 현대시 제재를 통해 구현되는 문화의 주요 속성들
4.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구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