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이용수  0

영문명
Temporal Integration Patterns of Cognition and Emotion in Digital Collaborative Writing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영(Jiyoung Lee)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341~37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과정에서 인지적 상호작용과 정서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탐구하여, 동일한 과제를 부여받았음에도 일부 팀은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일부 팀은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밝힌다. 방법: 인지-정서적 발달 경로, 감정과 상호작용 간 순차적 의존성을 탐구한다. 수집한 자료는 대학생들이 2주 동안 협력적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토의 발화 음성 녹음, 화면 녹화 영상, 구글 문서 수정 이력 등이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순차 분석, 교차 상관 분석, 상태 공간 모델링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 첫째, 고성취 팀과 저성취 팀은 과제 수행 초기 단계부터 인지와 정서에 차이를 보였으며, 결정적인 전환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고성취 팀은 호기심과 공동이론구축 사이클과 동기화된 감정-상호작용 패턴을 보였으며, 저성취 팀은 과제 회피 나선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과제 수행의 성패는 시간적 순서에 따른 인지-정서적 동기화에 달려있다. 교육적 함의로는 중요한 단계에서 교수자의 조기 개입과 인지적 전략 지도와 함께 긍정적 감정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gnitive interactions and emotions evolve during the process of digital collaborative writing and to elucidate why some teams successfully complete the task whereas others struggle, despite having been assigned the same task.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emotional developmental trajectories, the sequential dependencies between emotions and interac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engaged in a two-week collaborative writing project, including audio recordings of discussion utterances, screen recordings, and Google Docs revision histories. Sequential analysis, cross-correlation analysis, and state-space modeling were employed. Results: First, differences in cognition and emotion between high- and low-achieving teams emerged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task, with a decisive turning point identified. Second, high-achieving teams demonstrated emotion–interaction patterns characterized by cycles of curiosity and joint theory building, whereas low- achieving teams displayed a task- avoidance spiral. Conclusion: The success or failure of digital collaborative writing tasks is contingent on the extent to which cognition and emotion are synchronized over time. The findings highligh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arly teacher intervention at critical phases, guidance in cognitive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hat foster positive emo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Jiyoung Lee). (2025).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새국어교육, (), 341-376

MLA

이지영(Jiyoung Lee).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새국어교육, (2025): 341-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