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ystematic Review of Disciplinary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Gramma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소지영(Jiyeong So) 이지연(Jeeyeoun Lee)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377~429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문법교육이 학문 문식성 함양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정의되고 실천되고 있는지 비교·분석한다. 방법: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총 178편의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문법교육 내에서 학문 문식성의 개념 정의, 목표 능력, 교수 전략, 교육 환경 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두 영역의 접근 방식을 비교하였다. 결과: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은 모두 문법을 학문 문식성 형성의 핵심 자원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문법 요소의 유형, 교수 전략, 이론적 기반, 교수 환경에서 상이한 실천 양상을 보이며, 학습자 특성 및 교수 조건의 구조적 차이가 이 같은 차이를 형성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문 문식성이라는 공통의 교육 목표를 고려할 때, 두 영역 간 문법교육의 단절적 접근을 지양하고, 통합적 관점과 상호 보완 전략을 통해 문법교육의 정합성과 실천 효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grammar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isciplinary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KF/SL) educa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on 178 studies, focusing on how grammar education relates to disciplinary literacy. The analysis compared conceptual definitions, instructional goals, pedagogical strategies, and educational contexts in both fields. Results: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FL education view grammar as a key resource for fostering disciplinary literacy.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tends to emphasize grammar as a tool for enhancing higher-order thinking and conceptual development, whereas KFL education approaches grammar as a functional resource for accurate and coherent academic performance. These differences stem from structural contrasts in learner backgrounds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s. Conclusion: Given their shared aim of developing disciplinary literacy, both fields would benefit from moving beyond fragmented approaches to grammar education. Integrated pedagogical models and reciprocal application of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coherence and practical effectiveness across diverse learner contexts.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지영(Jiyeong So),이지연(Jeeyeoun Lee). (2025).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377-429

MLA

소지영(Jiyeong So),이지연(Jeeyeoun Lee).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377-4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