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yntactic Complexity in CSAT Reading Passages and Test Items on Answer Rat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재(Sangjae Rlee) 손유빈(Yubin Son)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283~339쪽, 전체 5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9,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 국어 영역의 독서 지문과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의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16~2024년에 실시된 수능의 독서 지문 27개와 관련 문항 131개를 대상으로, 문항 구성 요소(지문, 발문, <보기>, 선택지)의 통사적 복잡도를 정량화하고, 그 평균값이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 분석 및 민감도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 평균이 1단위 높아질수록 문항 정답률은 2.5% 정도 낮아지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0.001), 민감도 분석을 통해 이러한 결과가 미관측된 교란 변수에 의해 쉽게 무효화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사적 복잡도가 높은 문항의 경우 문장 구조 및 연결 관계가 복잡하고 정보량이 많아 수험생의 인지적 부담을 가중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결론: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는 문항의 정답률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작동한다. 이에 향후 독서 평가 문항 설계 및 문장 교육에 있어 통사적 복잡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yntactic complexit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Korean reading passages and item components on test-takers’ performance, as measured by answer rates. Method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all item components (passages, questions, examples, and options) was quantified across 27 reading passages and 131 items from the 2016-2024 CSATs. The influence of their average syntactic complexity on item answer rates was then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A one-unit increase in syntactic complexity was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2.5% decrease in answer rates(<0.001). A sensitivity analysis indicated this result is robust to unobserved confounding variables. Items with higher difficulty levels typically contained more complex sentence structures and denser information, which may increase test-takers’ cognitive load. Conclusion: Syntactic complexity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item difficulty. Implications for reading assessment design and instructional practice are also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