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imilar Grammatical Constructions to the Connective Ending ‘-더니’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서기(RUIQI ZHOU)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505~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연결어미 ‘-더니’와 유사한 문법 항목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어의 연결어미는 다양한 의미적 기능을 가지며, 유사한 표현들이 공존하여 학습자들이 혼동을 겪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더니’와 의미·기능적으로 유사한 연결어미 목록을 추출하고, 학습자들이 정확한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적 접근법을 모색한다. 방법: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학습자 오류 주석 말뭉치를 활용하여 ‘-더니’ 관련 오류의 양상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AntConc를 활용하여 오류의 유형과 출현 빈도를 통계적으로 검토하고, 기존 한국어 교재 및 문법서에서 ‘-더니’와 유사한 표현들이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가장 혼동하는 문법 항목을 도출하고, 교육적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결과: 학습자들은 주로 ‘-더니’를 ‘-었더니’, ‘-(으)니’ 등의 유사한 연결어미와 혼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인과, 대조, 계기적 의미의 구분에서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류는 주로 중·고급 학습자의 글쓰기에서 두드러지며, 명확한 의미 차이를 학습하지 못한 경우 특정 표현만을 과잉 사용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니’와 유사한 문법 항목들을 체계적으로 대비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학습자가 문법 항목 간의 의미적·화용적 차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맥락 중심의 예문과 비교 학습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유사 연결어미 학습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학습자의 문법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 list of grammatical expressions similar to the connective ending ‘-더니’ used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Given the complexity of Korean connective endings, which vary in meaning and function, learners often struggle with distinguishing subtle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among similar expression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nnotated learner corpus data to examine the patterns of errors related to ‘-더니’ and its similar grammatical structur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learner error corpus, and error frequency and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AntConc. Additionally, a comparativ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grammar references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mon confusion points and gaps in instructional material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learners frequently confuse ‘-더니’ with other connective endings such as ‘-었더니’ and ‘-(으)니’ due to overlapping functions related to causation, contrast, and sequential events. Most errors appeared in intermediate to advanced learners’ writing, suggesting that explicit instruction on the nuanced distinctions of ‘-더니’ is necessary.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 structured teaching approach that systematically contrasts ‘-더니’ with similar grammatical structures, providing learners with targeted exercises and contextualized usage exampl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Korean grammar education, particularly for non-native speakers struggling with similar connective ending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더니’의 의미·통사적 특징
3.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추출
4. ‘-더니’의 유사문법 기술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