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Korean Collocation Usage Patterns Based on Academic Journal Corpus : Focusing on ‘Noun+Particle+Verb’ Structure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최지희(Jihee Choi)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763~7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학술적 글쓰기에 필요한 연어 목록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학술 논문으로 구축한 대규모 말뭉치에서 빈도, 분포, 통계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명사+조사+용언’ 구성 연어를 추출하고 핵심어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공과 무관하게 사용되는 ‘학술 공통 연어’ 목록과 전공별로 사용 양상이 다른 ‘전공 특화 연어’ 목록을 얻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영향을 받다’, ‘경향을 보이다’와 같은 연어는 자연과학 및 공학 텍스트에서 두드러지는 반면, ‘대상이 되다’, ‘의미를 가지다’와 같은 연어는 인문 분야에서 더 자주 출현하였다. 한편,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영향을 미치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가 주요 연어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각 분야의 학문적 지향점에 따라 선호하는 연어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술 분야별 담화 특성에 적합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ompare collocations in academic texts across five disciplin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rts,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 3-million-word corpus of academic journal articles was built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range, an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score and MI, to identify Noun+ Particle+Verb collocations. Results: The results reveal both shared and discipline-specific collocational patterns. For example, collocations like 영향을 받다, and 경향을 보이다 are prominent in natural and engineering texts, while 대상이 되다 and 의미를 가지다 appear more frequently in humanities. Meanwhile,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영향을 미치다 and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were found to be key collocation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ocational preferences reflect the epistemological orientations of each field and have implications for discipline-specific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improving academic writing instruction tailored to disciplinary discours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연어 추출 결과 분석
4. 학술 분야별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희(Jihee Choi). (2025).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763-791

MLA

최지희(Jihee Choi).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763-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