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Instruction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Using Newspaper Headlines and Keywords : Exploring the Potential for Vocabulary Expansion and Reading Motivation Enhancemen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현정(Hyeonjeong Choi)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721~76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신문 기사 제목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과 읽기 활동에서 어떠한 변화 가능성이 나타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TOPIK Ⅱ 읽기 영역(25~27번 문항)의 기사 제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신문 자료를 선정하여, 10주간 고급 학습자 9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운영하였다. 수업은 ‘읽기 전–읽기 중–읽기 후’ 단계별 활동으로 설계되었다. 결과: 학습자들은 신문 읽기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고, 제목과 핵심어를 통한 내용 예측이 가능해져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향상되었으며, 어휘의 의미·용법·맥락 이해가 심화되는 경험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신문 제목·핵심어 기반 수업이 고급 학습자에게 실제성 있는 언어 입력을 제공하고 어휘 학습과 읽기 동기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업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적 의의로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더 다양한 학습자 집단과 기사 장르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structional case using newspaper headlines and keywords,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changes in vocabulary learning and reading activities among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s: Based on an analysis of article headlines from the TOPIK II reading section (questions 25-27), authentic newspaper materials were selected and utilized in a 10-week course involving nine advanced learners. The instruction was designed following a three-phase structure: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 reading. Results: Learners reported a reduced sense of burden when reading newspapers, improved ability to predict content through headlines and keywords, increased confidence and interest in reading, and a deeper under- standing of vocabulary meaning, usage, and context.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ction centered on newspaper headlines and keywords can offer authentic language input for advanced learners, effectively supporting vocabulary acquisition and enhancing motivation for reading. This case study highlights the instructional potential of such a model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volving diverse learner groups and a wider range of newspaper genr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절차 및 내용
4. 수업 사례 및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