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Effects of Pre-task Planning on the Speaking Performance of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진(Sunjin Lee) 임우열(Wooyeol Lim)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821~86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제 수행 발화의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을 측정하고, 말하기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 점수를 채점하였다. 다음으로 인터뷰 설문을 통해 과제 전 계획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한국어 중급 학습자 32명을 모집하였으며, 이들을 무작위 배정하여 통제 집단 10명, 실험 집단1(개별) 10명, 실험 집단2(협력) 12명으로 분류하여 이야기 서술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때, 통제 집단은 과제 전 계획 활동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실험 집단1과 2는 과제 전 계획 활동을 각각 개별과 협력으로 10분 동안 수행하였다. 결과: 과제 전 계획 활동을 수행한 집단에서 복잡성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으며, 그중 개별 활동 집단과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인식 조사 결과에서는 학습자들이 협력 활동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과제 전 계획 활동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말하기 수행 능력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task planning on the Korean speaking performance of intermediate-level learners. To this end, the learners’ task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and their scores were evaluated through both holistic and analytic speaking assessments. In addition, a survey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s of pre-task planning. Methods: Thirty-two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n = 10), an individual pre- task planning group (n = 10), and a collaborative pre-task planning group (n = 12). All participants performed a narrative task.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no pre-task planning, whereas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arried out pre-task planning individually or collaboratively for 10 minutes, respectively.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mplexity were observed in the groups that engaged in pre-task planning,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dividual planning group. The perception survey, however, revealed that learners preferred collaborative planning over individual planning.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re-task planning through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peaking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