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tical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Speaking and Writing through ChatGPT : Grounded in the Interaction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진(Sujin Kim)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561~59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 RISS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2025년 3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1개를 선별하여 연구 주제를 살펴보고 상호작용 접근법을 바탕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 분석 결과 ChatGPT를 활용한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서 사례 연구 방법을 이용한 논문들이 많았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사례 연구를 시작으로 대화 모형이나 피드백 모형과 같은 개발 연구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이 주로 중·고급 학습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ChatGPT의 발음 인식 오류 및 난이도와 정보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기술적인 문제들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구 문헌에서 나타난 말하기 과제 유형은 대화·역할극, 인터뷰, TOPIK 말하기였으며, 쓰기 과제 유형은 이메일, 자기소개, 설명문, 논설문, 학술 보고서, TOPIK 글쓰기였다. 넷째, 연구 문헌 분석을 통해 파악한 ChatGPT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요소는 명시적 피드백이었다. 결론: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확대가 요구되며, 프롬프트와 지침 설계를 통한 음성 인식 오류 문제 해결 및 난이도와 정보량 조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articles on the use of ChatGPT in Korean speaking and writing, identify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A RISS database search yielded 21 articles published through March 2025 in journals index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These studies were purposively selected based on their themes and qualitatively analyzed—using the Interaction Approach—through iterative coding and thematic synthesis.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1) case-study designs were most common, with a trend toward development studies proposing dialogue or feedback models; 2) most participants were intermediate-to-advanced learners, with recurring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speech-recognition errors and limited control over task difficulty and information load; and 3) task coverage focused on dialogue/role-play, interviews, and TOPIK Speaking for speaking, and e-mails, self-introductions, expository/ argumentative essays, academic reports, and TOPIK Writing for writing. Explicit corrective feedback was the primary interactional feature. Conclus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include extending research to beginner learners and refining prompt/guideline design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and enable adaptive difficulty control.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내용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