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이용수 0
- 영문명
- Space Model and Readers’ Reading Definition :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Chapter 14(1440: The Smooth and the Striated)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도남(Donam Kim) 하채희(Chaehui Ha)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119~16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논의는 공간 모델을 토대로 독자의 읽기 규정을 탐구한다. 방법: 들뢰즈와 과타리가 『천 개의 고원』 14장(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에서 공간에 대하여 수학 모델, 물리 모델, 예술 모델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한다. 결과: 읽기는 독자의 읽기 규정에 따라 달라진다. 독자의 읽기 규정을 대별하면, 홈패인 공간의 특성을 반영한 ‘배움 읽기’와 매끈한 공간의 특성을 반영한 ‘생성 읽기’이다. 이 두 읽기는 각 공간 모델에서 공간 특성의 혼합 정도에 따라 여러 ‘혼합적 읽기’를 이룬다. 각 공간 모델의 혼합적 읽기에서 생성 읽기를 강화하는 특성을 규명한다. 수학 모델의 혼합적 읽기는 계량 방식으로 거리적(distance), 이형적(amorphous), 소수적(decimal)으로 규정할 수 있다. 물리 모델의 혼합적 읽기는 작용 방식으로 다질적, 이탈적, 자유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예술 모델의 혼합적 읽기는 파악 방식으로 근접적, 국지적, 추상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 혼합적 읽기의 배움 읽기와 생성 읽기의 혼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적용 모델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결론: 독자의 읽기 규정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읽기는 읽기 규정에 따라 실행된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언
2. 공간 구성 모델
3. 독자의 읽기 규정
4. 결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